[과학 인재 양성]
구미 SK 반도체 협약식도 참석
SK “3년간 총 1조2000억 투자”
朴 생가 방문해 “위대한 지도자”
윤 대통령은 이날 금오공대에서 첫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열고 “국가 발전의 동력은 과학기술이고 인재 양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 산업화에 성공하고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것도 결국 사람에게 투자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윤석열 대통령이 1일 경북 구미 금오공대에서 열린 제1차 인재양성전략회의를 주재하기에 앞서 직무훈련을 참관하며 학생들을 격려하고 있다. 구미=대통령실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금오공대는 박 전 대통령의 고향인 구미에 고급 기술 인재 양성을 목표로 1979년 설립됐다. 윤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의 얼과 숨결이 살아 있는 곳”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금오공대 공동실험실습관의 로봇팔 프로그래밍 수업 현장을 찾아 “나라의 희망이 여기서 시작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며 학생들을 격려했다.
![]() |
윤석열 대통령(왼쪽)이 1일 경북 구미시 SK실트론을 방문해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실리콘 웨이퍼(반도체 기판) 생산시설을 시찰하고 있다. 구미=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엔 반도체칩 핵심 소재인 ‘실리콘 웨이퍼’ 분야 생산업체인 구미 SK실트론을 찾아 반도체 투자 협약식에 참석했다. SK실트론과 경북도, 구미시가 이날 맺은 투자협약으로 내년부터 3년에 걸쳐 총 1조2360억 원이 투입돼 구미3공단에 신규 생산시설이 구축된다. 윤 대통령은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생산시설 곳곳을 시찰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박 전 대통령 생가를 찾아 헌화·분향했다. 윤 대통령은 방명록에 “위대한 지도자가 이끈 위대한 미래, 국민과 함께 잊지 않고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추모관이 너무 협소하다”며 동행한 이철우 경북도지사에게 개선 방안을 주문했다. 비공개 일정임에도 시민 2000여 명이 몰려들자 윤 대통령은 시민들과 악수를 나눴다. 윤 대통령이 취임 후 박 전 대통령 생가를 찾은 건 이날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이 이날 구미에서 3개 일정을 연달아 소화하자 산업화를 상징하는 박 전 대통령을 통해 보수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의도라는 관측이 나왔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
구미=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