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송전탑의 77%가 산림에 설치된 점을 고려, 한국전력공사와 협업해 산림 내 송전탑·송전선로 안전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인근에서 산불이 났을 때 지연제(리타던트)를 투입하기로 했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31일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남성현 산림청장이 3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산불방지 종합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산림청은 기후변화 등으로 대형화·연중화하는 산불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산불 감시에 나선다. AI 학습과 연계되는 CCTV를 이용해 24시간 연기·불꽃을 자동으로 감시한다. AI는 딥러닝(컴퓨터가 스스로 외부데이터를 조합, 분석·학습)해 연기·불꽃이 산불인지 아닌 지 감지하게 된다.
이 같은 산불 예방 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은 산불 위험이 큰 강원과 경북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기존 6곳에서 10곳으로 확대 설치된다.
동해안 지역 대형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경북 울진에 ‘국립 동해안산불방지센터’를 새로 건립한다. 올해 설계를 마친 뒤 2025년 준공할 예정으로, 산불재난 특수진화대와 진화 장비 등을 배치해 나갈 계획이다.
남북 접경지역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오는 12월 비무장지대(DMZ) 항공관리소도 들어선다.
긴 가뭄이나 산불 장기화에 따른 급수 여건 악화에 대비하기 위해 산 정상부나 능선에 이동형 물주머니(30개·900ℓ)를 배치하고, 산악지형에 특화된 고성능 산불 진화차(18대)도 도입한다.
이달부터 차례로 도입하는 고성능 산불 진화차는 기존 진화차보다 담수량이 3배 더 많고(3천ℓ) 험준한 산악지형에 적합해 강원·경북 동해안 지역부터 우선 배치한다.
야간산불 대비 차원에서는 드론에 열화상카메라를 장착해 산불 이동선을 확인할 수 있도록 드론 산불진화대(10개팀)를 운영한다.
산불 진화 드론의 활동 반경을 확대하기 위해 드론에서 분사되는 에어로졸의 크기·중량도 12.5㎏에서 23㎏로 2배 향상한다.
산불상황관제시스템에 원전과 액화천연가스(LNG) 저장소, 문화재 등 국가 중요시설물 14만6000개 위치를 탑재해 실시간 산불을 관리한다.
전국 송전탑의 77%가 산림에 설치된 점을 고려, 한국전력공사와 협업해 산림 내 송전탑·송전선로 안전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인근에서 산불이 났을 때 지연제(리타던트)를 투입하기로 했다.
공중 산불진화 지휘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공중지휘통제관(ACC)과 지상안전통제관(GSC) 제도도 도입한다.
산림 인접지(100m)에서 쓰레기나 논·밭두렁 태우기 등 소각행위는 전면 금지된다.
불이 났을 때 연료 역할을 할 수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훈증처리목은 대형산불발생 우려 지역·산불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우선 수집·파쇄할 예정이다.
또 지방자치단체 임차 헬기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조종사 비행 경향 분석을 바탕으로 하는 위험 요소 경감 기법을 민간업체와 공유하고, 산불 헬기 민간 조종사에 대해 산림항공본부의 모의비행훈련장치를 공동 활용하게 하는 등 훈련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림청을 중심으로 지자체와 행안부 등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산불재난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산불 피해 규모는 공익적 가치 8374억원, 복구 비용 2578억원, 입목피해 2030억원, 진화 비용 467억원 등 모두 1조3452억원으로 추산됐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