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4 (화)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경기 둔화에 끄떡 없는 제약업계…고령화에 수요 '탄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문의약품, 필수소비재 성격 강해…경기 둔화에도 수요 지속

바이오의약품 특허 만료 '기회'…R&D·설비투자 비용 감당해야

[이데일리 김성수 기자] 올해 제약업계의 신용등급 방향성은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고령화로 의약품 수요가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전문의약품은 필수소비재 성격이 강한 만큼 경기 변동에도 수요가 위축되지 않아서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바이오의약품 특허 만료시점이 다가오는 것도 국내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의약품) 개발사들에 기회가 되고 있다. 다만 연구개발, 설비투자에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내 제약사들이 이 과정에서 재무부담이 높아질지가 변수다.

전문의약품, 필수소비재 성격 강해…경기 둔화에도 수요 지속

24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종근당, 녹십자, 대웅제약, 보령, 한미약품 등 다수 제약업체의 신용등급 방향성은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제약산업은 고령인구 증가 등 인구 구조적 요인, 만성질환 증가, 의약 분업을 비롯한 사회적 요인 등으로 수요기반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완제의약품 생산실적의 약 80%를 차지하는 전문의약품의 경우 필수소비재 성격이 커서 경기 변동에도 수요가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

금리인상 및 고물가 추세로 올해 경기침체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의약품 수요 자체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데일리

‘65세 이상 인구 비율’ 및 ‘1인당 진료비 추이’ (자료=한국신용평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1인당 전체 소비지출 중 의약품 비중은 지난 11년간 경기변동과 관계없이 증가하고 있다. 1인당 연간 진료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65세 이상 인구의 진료비는 더욱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인구 고령화 추세도 지속되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2016년 말 13.5%에서 작년 11월 말 17.9%로 증가했다. 이같은 고령화 추세와 경기에 민감하지 않은 의약품 수요를 감안하면 올해에도 의약품 수요는 견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제약사들은 정부의 ‘리베이트 영업 제한’, 건강보험 재정수지 개선을 위한 ‘일괄약가 인하 정책’으로 국내 제약산업 성장세가 둔화되자 이에 대한 돌파구를 찾아나섰다. 향후 양호한 성장성이 기대되는 바이오의약품 시장으로 진출했으며 해외 신규품목 도입 확대, 신약 연구 개발 투자, 해외 수출, 기술수출에 나섰다.

바이오의약품 특허 만료 ‘기회’…R&D·설비투자 비용 감당해야

또한 글로벌 제약사들의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 특허 만료시점이 다가오는 것이 바이오시밀러(바이오복제의약품) 개발사 및 CMO에 기회가 되고 있다. CMO란 의뢰받은 의약품을 대신 생산해주는 ‘의약품 전문 생산사업’을 뜻한다.

올해 전세계 10대 의약품 중 3개(미국)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된다. △휴미라(2021년 매출 글로벌 2위·207억달러) △아일리아(2021년 매출 99억달러) △스텔라라(2021년 매출 96억달러) 등이다.

전세계 제약사들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바이오시밀러 승인 및 출시허가를 받기 위해 개발을 진행 중이다. 국내 업체들도 여기에 참여하고 있다. △휴미라의 경우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아일리아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삼천당제약 △스텔라라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동아에스티 등이다.

이데일리

대기업집단 최근 제약바이오 산업 진출 현황 (자료=한국신용평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단기적으로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공급부족이 예상돼 국내 제약사들은 바이오신약 연구개발(R&D) 및 위탁개발생산(CDMO) 등 관련 사업을 늘리고 있다. 위탁생산(CMO) 사업이 제품의 생산을 위탁받는 것에 그쳤다면 CDMO는 생산공정, 임상, 상용화 등 신약개발 전 과정을 협업하는 능동적인 모델이다.

다만 연구개발, 설비투자 기조에 따른 자금소요가 발생해 일부 업체는 차입규모가 다소 증가할 수 있다. 신약 연구개발의 경우 평균 10여년간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를 감당할 수 있는 현금 창출력, 재무여력 보유 여부 등에 따라 신용등급 하방요인이 발생할 수도 있다.

신석호 나이스신용평가 선임연구원은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및 CDMO 영위 업체들이 사업초기 연구개발 및 생산시설 확보 과정에서 재무부담이 증가하는지를 지켜봐야 한다”며 “신약개발 성공 및 수주확보 이후 재무안정성 변동 추이에 대해서도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승언 한국기업평가 연구원은 “올해 제약업계 신용도의 핵심 ‘키’는 연구개발 투자 성과가 가시화되는지 여부”라며 “연구개발 투자 성과가 가시화될 때까지 주력 제품 판매와 해외진출로 확대된 연구개발비를 감당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