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수온 상승으로 기생충 급감…"기생충발 생태 서비스 감소"
어류 표본의 배를 갈라 기생충을 확인하는 연구진 |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물고기를 숙주로 한 기생충이 지난 100여 년 사이에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는데, 혐오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기생충이라도 전체적인 먹이사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희소식이 아닌 것으로 제시됐다.
미국 워싱턴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수산과학 부교수 쳉시 우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박물관에 소장된 어류 표본의 기생충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버크 자연사·문화 박물관'이 소장한 8종의 어류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어류 표본들은 미국 본토에서 두 번째로 큰 강어귀인 '퓨젓사운드'에서 채집한 것으로, 188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연구팀은 총 699마리 표본에서 촌충을 비롯해 85종 1만7천259마리의 기생충을 확인했다.
포유류나 조류 표본은 피부와 가죽, 깃털 등만 남겨 박제하지만 어류 표본은 파충류나 양서류 등처럼 알코올 등의 방부제 용액에 넣어 보관함으로써 채집 당시 몸 안에 있는 기생충이 그대로 보존된다.
이런 기생충은 한 숙주에서 일생을 마치는 종도 있지만, 대부분은 알, 유충, 성체 등으로 탈바꿈하면서 3개 이상 숙주를 옮겨 다닌다.
퓨젓사운드 어류 표본에서 확인된 기생충도 절반 이상이 3개 이상 숙주를 옮겨 다니는 종들인데, 10년에 11%씩 개체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까지 완전히 사라진 기생충 10종 중 9종이 3개 이상 숙주를 옮겨 다니는 종으로 밝혀졌다.
우드 부교수는 "하나나 두 개의 숙주만 옮겨 다니는 종은 상당히 안정적이었지만 3개 이상 숙주를 옮겨 다닌 종은 (개체 수가) 추락했다"면서 "상황이 너무 심각해 포유류나 조류처럼 사람이 관심을 두는 종이었다면 보존 조치가 이뤄졌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기생충이 두려움이나 혐오감을 유발하는 생물이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생태계에 걱정스러운 뉴스라고 강조했다.
기생충 생태학이 아직 걸음마 단계이기는 하나 복잡한 생활사를 가진 기생충이 먹이사슬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고 최상위 포식자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미 밝혀져 있다는 점에서 어류의 기생충 급감이 좋은 소식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버크 박물관의 어류 표본 |
연구팀은 어류 기생충 급감의 원인으로 푸젓사운드의 수질 오염과 수면 온도, 숙주 어류종의 상황 등을 검토한 끝에, 1950∼2019년 1℃가 오른 해수면 온도가 가장 부합하는 원인인 것으로 분석했다.
알과 유충, 성체 등으로 바뀌면서 3개 이상 숙주를 옮겨 다녀야 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진 기생충으로서는 어느 때든 수온 상승에 따른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우드 부교수는 "이번 연구는 푸젓사운드에서 어류 기생충이 많이 감소했다는 점을 보여줬다"면서 "이곳처럼 많은 연구가 이뤄진 생태계에서 기생충 급감이 부지불식간에 일어날 수 있다면 다른 곳은 어떻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구는 기생충 종이 정말로 위험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사실에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며, 이는 인류가 의존하는 기생충발 생태 서비스가 줄어든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나쁜 소식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볼락(copper rockfish) 아가미서 나온 흡충류 기생충(Microcotyle sebastis) |
eomn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