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윤석열 정부 출범

릴레이 면접? 윤석열 대통령이 관저로 '그들' 부르는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심 독점 후보 낙점 아직...아닌 사람만 확실
과도한 ‘친윤팔이’ 지지율 하락 우려


이투데이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업무보고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내외가 국민의힘 차기 당권주자인 안철수 의원 부부를 관저로 초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또다시 ‘관저 정치’가 급부상했다.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도 날짜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나 부위원장은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한 ‘2023년 신년인사회’에서 “윤 대통령이 언제든 한남동에서 만날 수 있다고 그러셨다”고 밝혔다.

‘김장연대’(김기현·장제원)를 형성해 ‘윤심’(尹心·윤석열 대통령 의중)이 김기현 의원에게 있다는 정치권 안팎의 시선도 흔들리는 추세다. 김 의원만 윤 대통령과 관저에서 식사한 것이 아니게 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원조 윤핵관’ 권성동 의원이 5일 당대표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한남동 관저’에 모든 이목이 쏠리고 있다.

◇①“윤심 독점 후보 없어...아닌 사람만 확실”


윤 대통령이 당권 주자들과 릴레이 면담을 하는 이유는 확실하게 마음에 드는 후보가 없음을 방증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은 5일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심이 무엇인지 파악이 된 것”이라며 “윤심을 독점한 후보가 없다. 누가 후보가 되더라도 대통령이 우호적인 관계를 맺을 것이다. 페어플레이 하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도 그럴 것이 후보마다 장단점이 뚜렷하다. ‘친윤계’ 후보인 김 의원은 지지율이 낮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2~3일 실시한 정례조사 결과에 따르면, 나 부위원장(35.0%)에 이어 김 의원은 15.2%, 유승민 전 의원은 13.7%, 안철수 의원 12.4%를 기록했다. 나 부위원장의 경우 당원들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지만, 윤심이 부족하다는 설이 난무한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위원장과 기후환경대사에 임명될 당시 전당대회 출마를 막으려는 것이 아니냐는 소문이 들끓었다. 안 의원의 경우 차기 대권 주자로서 ‘친윤’ 후보보다는 경계심을 갖고 바라보는 후보라는 전망이 짙다.

‘관저 정치’에서 확실하게 드러나는 것은 윤심의 의중이 닿지 않는 후보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유 전 의원이다. 유 전 의원은 아직까지 관저 회동을 한 바 없다. 오히려 ‘당원 투표 100%’로 경선 룰을 변경하면서 당대표 출마가 어렵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권 의원의 갑작스러운 불출마는 이른바 ‘면접 탈락’으로 보는 해석이 뚜렷하다. 권 의원은 ‘윤핵관’ 4인방 중 한 명으로 지난해 11월 말 관저 만찬을 했다. 한 여권 관계자는 “권 의원은 윤 대통령에게 개국공신과도 같은 인물”이라며 “충분히 같이 밥 먹을 수 있고, 대통령 입장에서 버릴 수 없는 사람이다. 당시에는 고려 대상이었을지 몰라도 친윤계 후보 교통정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계속 둘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②과도한 ‘친윤팔이’ 지지율 추락 우려


대외 이미지를 신경 썼다는 해석도 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3일 MBC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이 힘이 제일 좋았을 때인 2014년에 서청원 전 의원을 사실상 대표로 만들고 싶어 했지만 그러지 못했다”고 말했다. 당시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전당대회에서 비박계인 김무성 전 의원을 배척하고 서 전 의원만 챙겼던 당시 상황을 비판한 것이다.

지난해 7월 말 윤 대통령은 상대편을 배척하면서 지지율이 붕괴됐다. 당시 원내대표였던 권 의원에게 보낸 ‘내부총질이나 하던 당대표’ 문자가 유출되면서 지지율은 취임 80일 만에 30% 아래로 떨어졌다.

[이투데이/이난희 기자 (nancho0907@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