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물가와 GDP

"물가·수출 불안 불안"…올해 성장률 목표 1.6%도 어렵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발 금리인상, 실물경제 본격 전이

원자재값 등 불확실성 높아 우려 확산

아주경제

수출, 12월까지 석 달째 감소하나…올해 무역적자 500억불 육박 (부산=연합뉴스) 강덕철 기자 = 2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달 들어 20일까지 전체 수출이 1년 전보다 9% 가까이 줄면서 석 달째 감소할 가능성이 커졌다. 수입액은 증가하면서 무역적자가 9개월째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누적 무역적자는 500억달러에 육박했다. 이날 관세청에 따르면 12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36억3천8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8% 감소했다. 2022.12.21 kangdcc@yna.co.kr/2022-12-21 12:55:08/ <저작권자 ⓒ 1980-2022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 중반대로 낮춰 제시했지만 이마저도 달성하기 쉽지 않다는 비관론이 확산하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고 원자재 가격 변동 등 대외 불확실성 역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녹록지 않은 한 해가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2일 관련 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1.6%)와 한국은행(1.7%) 등 주요 기관들은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잠재성장률(2%)을 밑도는 1%대 저성장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코로나19로 마이너스 성장했던 2020년(-0.7%)과 글로벌 금융위기 와중이던 2009년(0.8%)을 제외하면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문제는 1%대 중후반의 성장률 달성조차 낙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기준금리 인상 후폭풍으로 소비가 위축되고,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출까지 둔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가와 수출 관리가 우리 경제의 최대 화두로 떠오른 배경이다.

특히 수출 부진에 대한 우려가 크다. 지난해 무역수지 적자 폭은 472억 달러. 미국발 금리 인상에 따른 고환율이 이어지는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공급망이 위축되고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탓이다.

우리나라 수출이 연간 무역적자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이후 14년 만이다. 무역적자 규모는 무역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56년 이후 역대 최대치다.

올해는 수출 여건이 더 악화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경기 침체 시 그 여파를 고스란히 떠안을 수밖에 없다.

정여경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요국 금리 인상 여파가 글로벌 경기에 반영되면 한국 수출 실적도 급락하게 된다"며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영향으로 포항 지역 철강 산업이 최근까지 장기 평균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고, 중국이 위드 코로나 국면으로 전환했지만 내부 감염이 확산되고 있어 2분기는 돼야 중국에 대한 소비재와 자본재 수출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파른 물가 상승률도 성장률 제고에 걸림돌이다. 물가가 예상만큼 떨어지지 않으면 소비와 투자를 제약 중인 금리도 낮아지기 어렵다.

정부는 원자재 가격 하락, 수요 둔화 등에 따라 물가 오름세가 점차 둔화해 올해 평균 3.5%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연평균 상승률(5.1%)보다 개선된 수치지만 한은 물가 목표치인 2.0%와는 여전히 격차가 크다.

특히 정부는 올해 에너지 요금 대폭 인상을 예고했는데 전기·가스요금은 상품과 서비스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원자재와 식량 가격이 안정되더라도 실제 물가 하락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얘기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현재 우리 경제는 경기 부진과 인플레이션 압력이 동시에 이뤄지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진행 중인 상황으로 판단된다"며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하지만 고금리가 추가적인 경기 부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주경제=안선영 기자 asy728@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