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조선 실학자 홍대용의 '혼천시계' 260년만에 복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립중앙과학관, 내년 봄 일반 공개

연합뉴스

복원 홍대용 혼천시계
[혼천의(왼쪽)와 자명종. 국립중앙과학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조선 시대 대표적 실학자이자 과학사상가 홍대용이 만든 천문시계 '혼천시계(통천의)'가 260년 만에 실물로 복원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중앙과학관은 28일 문헌으로만 전해지던 조선 후기 천문시계인 혼천시계 복원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혼천시계는 조선 후기 북학파 천문학자 홍대용과 호남 지역에서 활동하던 과학자 나경적이 1762년에 만든 기계식 천문시계로, 홍대용의 저서 '담헌서(湛軒書)'와 '농수각의기지(籠水閣儀器志)'에 통천의라는 이름으로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다.

혼천시계는 물의 힘(수격식) 또는 추의 힘(추동식)을 사용해 움직이는 기계 장치를 천체 관측 기구인 혼천의(渾天儀)와 연결해 절기와 시각 등을 알려주는 천문시계를 말한다.

1438년 장영실이 발명한 '흠경각 옥루' 이후 1669년 송이영의 혼천시계 등으로 명맥이 이어진 조선 전통의 천문시계다.

홍대용의 혼천시계는 전라도 나주목이라는 지방관청을 중심으로 실학자들이 공동 개발한 천문시계라는 의미가 있다고 국립중앙과학관은 설명했다.

복원된 혼천시계는 천체의 운행을 통해 날짜와 시각을 알려주는 혼천의에 추의 힘으로 작동하는 자명종을 연결한 방식이다.

연합뉴스

복원 홍대용 혼천시계
[국립중앙과학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혼천의 안에 태양을 상징하는 태양진상(太陽眞象)이 일 년 절기와 하루의 시각을 알려주고 달을 나타내는 태음진상(太陰眞象)이 음력 날짜를 알려준다.

자명종 추력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것은 송이영 혼천시계를 계승하면서 기계적 메커니즘을 한 단계 발전시킨 과학기술사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복원 연구 책임자 윤용현 박사(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과장)는 2년 동안 진행한 '조선 후기 기계시계 장치 전시품 개발 연구'를 통해 홍대용-나경적의 혼천시계를 현대에 되살려냈다.

장영실 '흠경각 옥루'를 복원한 적이 있는 윤 박사를 주축으로, 고천문과 시계 분야는 한국천문연구원의 김상혁 박사와 민병희 박사가, 고문헌 분야는 '문화유산연구소 길'의 기호철 소장 등이 복원에 힘을 모았다.

혼천시계에 대한 기록이 남은 문헌과 현존하는 기계식 시계 등 유물 분석, 복원 모델 실험 등을 거쳐 원형에 충실하도록 복원했다고 국립중앙과학관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복원 홍대용 혼천시계의 자명종 내부 구조 설계모델
[국립중앙과학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헌만으로는 전체 형태를 추정하는 데 한계가 있어 연구진은 고려대 박물관, 서울대 박물관에 소장된 자명종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동력 발생 특성을 분석한 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의 혼의 유물을 토대로 복원 모델을 설계했다.

이석래 국립중앙과학관장은 "조선 세종 시대 자격루, 옥루 등 다른 과학 문화재와 함께 해외전시를 통해 과학 한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성과"라며 "내년 봄부터 과학관 내 과학기술관에서 복원 혼천시계를 전시하고 관람객이 핵심 원리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cs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