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수 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 |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김대수 뇌인지과학과 교수가 지난달 19일 세계보건기구(WHO) 후원으로 개최된 '근긴장이상증 음악가들을 위한 콘퍼런스', 근긴장이상증 환자인 주앙 카를로스 마틴의 카네기 홀 공연에 참석해 근긴장이상증 치료제 소식을 알렸다고 27일 전했다.
피아니스트 주앙 카를로스 마틴은 70, 80년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로 주목받았으나 갑자기 찾아온 손가락 근긴장이상증으로 음악을 접어야 했다. 2020년 산업 디자이너였던 바타 비자호 코스타가 개발한 바이오닉 글러브를 끼고 다시 노력한 결과 60년만에 82세 나이로 카네기홀에 다시 서게 됐다. 그러면서 김대수 교수를 포함 근긴장이상증 연구자를 호명하는 등 희귀질환 음악가들을 위한 치료제 개발에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음악가 근긴장이상증은 음악가 1~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며, 근긴장이상증으로 연주가 불가능하게 된 음악가들은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음악가들이 근긴장이상증에 취약한 원인으로는 과도한 몰입과 연습, 완벽주의적 성격, 유전적 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 현재 보튤리넘 톡신(보톡스)로 이상이 생긴 근육을 억제하는 방법이 쓰이지만 근육기능을 차단하게 되면 결국 악기를 연주할 수 없게 된다. 주앙 카를로스 마틴도 여러 번 보톡스 시술과 세 번 뇌수술을 받았으나 치료효과가 없었다. 새로운 치료제가 필요한 이유다.
김대수 교수와 주앙 카를로스 마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대수 교수 연구팀은 근긴장이상증이 과도한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것에 착안해 근긴장이상증 치료제 NT-1을 개발했다. NT-1은 근긴장 증상의 발병을 뇌에서 차단해 환자들이 근육을 정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김대수 교수팀은 근긴장이상증 치료제 개발 연구성과를 2021년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저널에 게재했으며 이 논문을 보고 주앙 카를로스 마틴이 자신의 공연과 UN 컨퍼런스에 김대수 교수를 초청했다.
이날 카네기홀 공연에 앞서 열린 희귀질환 극복을 위한 UN 컨퍼런스에서 WHO 의 정신건강 및 약물 남용 연구소 책임자인 데보라 케스텔 박사는 “근긴장이상증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질환으로서 사회적인 관심과 연구자들의 헌신을 필요로 한다”면서 콘퍼런스의 취지를 밝혔다. 김대수 교수는 “NT-1은 뇌에서 근긴장이상증 원인을 차단하는 약물로서 음악가들이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2024년까지 한국에서 임상허가를 받을 것으로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다.
NT-1 약물은 현재 교원창업기업인 뉴로토브(대표 김대수)에서 개발 중이다. 임상테스트를 위한 약물 합성이 완료되었고 다양한 동물 실험결과 효능과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병원에 가서 시술을 하고 며칠이 지나야 치료효과를 볼 수 있는 보톡스와 달리, NT-1은 복용한지 1시간 이내에 치료효과를 보인다. 먹는 보톡스로서 다양한 긴장성 근육질환 및 통증에 효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