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자동차 시장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
한국자동차연구원 |
한국자동차연구원은 19일 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아세안상품무역협정(AMIGA)과 2022년 아세안 자동차 장치 상호승인(APMRA) 발효에 따라 아세안 역내 지역에서의 자동차 수출입은 더욱 원활해질 전망이다.
특히 한국과 유럽연합(EU), 일본이 가입한 APMRA는 아세안 회원국 사이 특정 자동차 장치를 거래할 때 승인 절차를 간소화해 무역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고 평가된다.
또 아세안 자동차 시장의 전동화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현지 시장을 장악했던 일본에 더해 중국도 공격적인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보고서는 아세안 회원국 중 전기차 산업 육성에 가장 관심을 보이는 나라는 인도네시아와 태국이라고 전했다.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니켈 등 핵심 광물 보유량이 풍부하고, 내수시장의 절대 규모도 크다는 특징이 있다.
태국은 자동차 생산·수출 기지로서 그동안 축적된 부품사·인력·공급망 네트워크가 강점이다.
전기차 시장으로서 큰 잠재력을 가진 인도네시아와 태국은 전기차 산업지원정책에 현지생산 요건을 부가해 자국 산업 육성을 촉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2020년부터 니켈 원광 수출 금지조치를 취해 자국 내에서 배터리를 제조·가공하도록 했고, 부품 현지화율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차에만 15%에 달하는 사치세를 면제하고 있다.
또 아직 도입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자국 내 공장을 보유한 제조업체가 생산한 전기차에 대해선 8천만 루피아(670만원)를 지급할 예정이다.
태국은 아세안 회원국 중 유일하게 전기차 구매보조금 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로, 보조금 지급조건에 자국산 배터리·부품 사용요건을 부가해 배터리 제조 산업기반을 구축 중이다.
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 중국의 완성차 제조사 모두 현지 생산이 불가피해졌고, 동일한 경쟁 선상에 서게 됐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보고서는 "BYD 등 중국 전기차업체들이 태국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했고, 일본 자동차기업들도 2025년 내 현지 생산·판매를 시작할 전망"이라며 "현대차[005380]를 비롯한 우리나라 자동차 업계도 아세안 지역을 전기차 생산기지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viv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