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파업]
이건혁·산업1부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가 6일로 13일째에 접어들면서 산업계는 ‘풍전등화’와 같은 분위기다. 대기업들은 그나마 6월 화물연대 파업 때의 ‘학습 효과’로 미리 대비를 해두긴 했다.
6월에는 파업 며칠 만에 철강, 석유화학, 자동차 등 산업부문을 가리지 않고 적재 공간이 부족하거나 부품 공급이 끊기면서 공장을 세워야 했던 고통을 겪었다. 이번 파업이 예고되자 기업들은 창고를 최대한 확보하고, 부품도 미리 주문해두고, 화물연대에 가입하지 않은 화물차를 최대한 확보해 뒀다.
파업이 장기화되면 대책이 없다. 금호타이어는 1∼6일 생산량을 평상시의 70%까지 줄이는 감산을 시행했다. 결국은 감산 검토에 들어간 기업들이 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임시 대비책은 시간을 조금 번 것에 불과하다”고 했다.
문제는 중소기업이다. 온갖 수단을 동원해 버티고 있는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파업 충격을 알면서도 온몸으로 맞을 수밖에 없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하루하루 매출에 일희일비하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처럼 장기간 재고를 쌓아가며 버티는 건 불가능한 일”이라고 하소연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23일부터 6일 오전 10시까지 접수된 화물연대 파업 관련 애로사항은 82개사 139건이다. 전부 중소기업의 피해다. 1주일 만에 236건이 접수됐던 6월 파업에 비해 충격이 덜한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오지만 현실을 보면 그렇지 않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중소기업은 가뜩이나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화물연대 파업까지 덮쳐 고통이 크다”며 “하소연하고 말해봐야 바뀌는 게 없더라는 무력감, 좌절감에 빠져 있다”고 했다.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를 통해 안전한 근로 환경을 만들고 싶다는 화물연대의 주장 그 자체는 이해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 하지만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중소기업과 임직원, 그리고 그들의 가족들까지 희생양으로 삼을 수 있는 권리는 그들에겐 없다. 중소기업들의 건의사항을 보면 유독 ‘공권력 투입’ ‘엄정한 법 집행’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는 것을 화물연대 측은 알아야 한다.
이건혁·산업1부 기자 gun@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