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지난달 24일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에 운행을 멈춘 화물트럭이 컨테이너 사이에 주차돼 있다. 김창길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 총파업으로 인해 철강업계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철강제품 ‘출하 차질액’이 1조원을 넘는다고 추산했다. 그러나 이것이 바로 실제 ‘피해액’을 뜻하지는 않는다. 철강업은 재고 등이 있어 즉각적인 운송이 필요하진 않기 때문에, 추후에라도 운송이 되면 최종 피해액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화물연대 총파업이 시작된 지난달 24일부터 8일째인 전날까지 철강업계 출하 차질 규모를 집계한 결과 총 1조1000억원 수준이라고 2일 밝혔다.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KG스틸 등 5대 철강사의 출하 차질액은 8700억원으로 추산됐다. 지난달 30일까지는 7313억원이었고, 하루새 1400억원이 늘어났다고 산업부는 덧붙였다.
정부가 출하 차질 규모를 파악한 시멘트(976억원), 자동차(3192억원), 정유(4426억원)까지 4대 업종 중에서 철강 피해가 가장 크다. 다만 나머지 업종도 출하 차질액 자체를 모두 실제 피해액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산업부는 철강업계 피해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이날 현장 점검도 했다.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이 이날 세아베스틸 군산공장을 찾아 정부 건의사항 등을 들었다. 장 차관은 “운송방해 등 불법행위 발생시 경찰에 즉시 협조 요청해 달라”며 “주요 협회가 중소 화주들이 입은 손해에 대한 소송 대행을 검토하는 걸로 안다. 철강협회 중심으로 법과 원칙에 따른 대응에 동참해 달라”고 말했다.
무역협회는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피해사례를 접수 받아 이날(오전 8시 기준) 공개했다. 화물연대에 접수된 피해 건수는 총 84건으로 48개사로부터 접수됐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유형은 ‘납품지연으로 인한 위약금 발생 및 해외 바이어 거래선 단절’로 38건이었다. 다음으로는 ‘물류비 증가’(23건), ‘원·부자재 반입 차질에 따른 생산 중단’(20건), ‘공장·항만 반출입 차질로 인한 물품 폐기’(3건) 순이었다. 무역협회는 화주들의 입장을 모아 소송을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박순봉 기자 gabgu@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