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경영 의사결정에 반영 ‘내부 탄소 가격’ 제도 도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규 사업 투자 때 탄소 배출량 증감 여부, 경제성 판단에 활용키로
2025년 톤당 40~95달러, 2030년 120달러, 2040년 200달러로 설정
탄소 무역장벽 현실화 대비 발빠른 대응…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듯
SK이노베이션이 유가와 환율처럼 탄소 가격도 향후 투자를 결정할 때 주요 지표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탄소 배출량이 큰 투자는 ‘비용’으로 판단하는 등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경제적 측면까지 고려하겠다는 취지다. 내년부터 유럽연합(EU)이 수입제품의 탄소 함유량에 따라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시범 적용하는 등 기후변화 대응이 기업 이익과도 직결되는 사례는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SK이노베이션은 미래 탄소 가격을 경영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내부 탄소 가격’ 제도를 도입한다고 27일 밝혔다. 내부 탄소 가격 제도는 SK이노베이션이 새로 투자하는 사업의 탄소 배출량 증감 여부를 측정한 뒤, 내부 탄소 가격을 적용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전문 기관이 예측한 미래 탄소 가격 시나리오를 참고해 2025년 t당 40∼95달러로 예상되는 탄소 가격을 2030년에는 t당 120달러, 2040년 200달러로 정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환경규제가 많은 EU는 탄소 가격이 더 높지만, 2030년부터는 한국을 포함한 전 지역이 같아질 것으로 예상했다”고 말했다.
이번 제도 도입으로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투자는 경제성이 상승하고, 반대로 신규 공장 증설에 따라 탄소를 더 배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투자는 경제성이 하락하게 된다. 내부 탄소 가격 제도는 이달 중순 이사회 보고를 마치고 시행을 앞두고 있다. 김태진 SK이노베이션 이사회 ESG(환경·사회·지배구조)위원장은 “내부 탄소 가격의 도입은 기업의 경영 의사결정에 미래 탄소 가격을 비용으로 반영하고, 도입 여부를 공개하라는 외부의 요구에도 일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앞으로 글로벌 탄소 배출권 가격에 대해서도 유가, 환율 등과 같이 경영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핵심 지표에 포함해 관리할 계획이다. 최근 정부도 제품을 생산할 때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기업에 배출권을 추가 할당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만큼 향후 경영에 주요 판단지표로 활용하는 기업들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탄소중립을 선언하거나 관련 활동을 공시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ESG 평가분석기관인 서스틴베스트에 따르면 탄소중립을 선언하거나 관련 활동을 공시한 기업은 지난해 하반기 99개에서 올해 하반기 228개로 증가했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기후 관련 공시 표준에 대한 최종안을 공표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상당수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나섰다고 서스틴베스트는 설명했다.
탄소 ‘무역장벽’도 현실화되면서 기업들의 발빠른 대응이 요구된다. EU는 내년부터 수입품의 탄소 함유량에 EU ETS(탄소배출권거래제)와 연동된 탄소 가격을 부과해 징수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행한다. 내년 1월부터 개시되는 3년간의 전환 기간에는 EU로 수출하는 기업들이 CBAM 인증서를 의무적으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지만, 제품별 탄소배출량은 보고해야 한다. 전환 기간이 끝나면 수출업체는 품목별 탄소 함유량에 상응하는 양의 인증서를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한다.
지난해 국회미래연구원은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으로 국내 산업계가 부담해야 하는 규모가 2030년 기준 8조2456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