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워싱턴 비행통제구역에 중국산 드론 100여회 출현…안보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정부가 조종했다고 보지는 않지만 해킹 통한 스파이활동 경계"

연합뉴스

DJI 드론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중국산 드론 수백대가 최근 몇 달간 미국 워싱턴DC의 비행통제구역에 출몰해 안보 당국이 경계하고 있다고 정치매체 폴리티코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안보 당국은 세계 최대 드론 업체인 중국의 DJI가 만든 민수용 드론이 최근 45일 동안 100번 이상 미국 수도의 비행통제구역에서 발견됐다고 의회에 보고했다.

위성항법장치(GPS)를 장착한 드론은 비행통제구역이나 공항 등 민감한 지역에서 비행하지 못하도록 설정돼있지만, 사용자들이 소프트웨어를 바꾸는 방식 등으로 이를 우회한 것이다.

당국자들은 중국 정부가 이들 드론을 조종하고 있다고 보지는 않지만, 중국 등 적국이 첩보 수집 목적으로 드론의 카메라나 센서를 해킹할 위험이 있다고 보고 있다.

서맨사 비노그라드 국토안보국 차관보대행은 지난 7월 상원 국토안보위에 출석해 2018년 이후 대통령 경호실이 대통령을 보호하기 위해 임시로 설정한 비행통제구역에서 수백대의 드론과 맞닥뜨렸다고 보고했다.

그는 또 적국 정보 당국이나 범죄자가 민수용 드론으로 스파이 활동을 하거나 민감한 기술을 훔치고 무선통신장치나 네트워크를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수년 전부터 DJI와 중국 정부의 연관성을 우려했다.

이에 국방부는 2017년 중국산 드론 구매를 금지했으며, 연방 정부 기관 중 드론을 가장 많이 운영하는 내무부는 비상시에만 중국산 드론을 사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아직 수천 곳의 연방·주(州)·지역 사법 당국 등이 DJI 드론에 의존하고 있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의회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갈수록 정교해지는 민수용 드론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 몇몇 의원이 드론 규제를 강화하는 법안을 발의한 적이 있지만, 해당 상임위를 통과하지는 못했다.

상원 정보위원회의 마르코 루비오 부위원장은 "중국이나 중국 기업에서 온 모든 기술 제품에는 실질적이며 잠재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있고 이런 취약함을 지금 당장 그리고 분쟁 시 악용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DJI는 제품을 판매한 이상 소비자가 드론으로 무엇을 하는지 통제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연방항공국(FAA)에 따르면 미국에 등록된 드론은 87만여대로 유인 항공기의 3배에 달하며 이 숫자는 2024년 230만대로 증가할 전망이다.

blueke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