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동아시아 영토·영해 분쟁

중일 정상회담 앞두고…기관포 탑재 中해경선 센카쿠 첫 출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센카쿠(尖閣)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도쿄=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 = 대형 기관포를 탑재한 중국 해경국 선박이 15일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접속수역에 진입했다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6일 보도했다.

76㎜ 대형 기관포를 장착한 중국 해양경찰 선박이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센카쿠 열도 접속수역에 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센카쿠 주변 접속수역에서 항행하는 해경국 선박 4척을 이날 새로운 선박으로 교체해 투입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그중 한 척에 중국 해군의 프리깃함에 주로 장착되는 76㎜ 대형 기관포가 실린 것을 확인했다.

중국 해군은 올해 들어 해경국에 76㎜ 기관포를 갖춘 프리깃함 20척을 인도했다.

센카쿠 열도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는 일본은 통관, 출입국관리 등 행정 행위를 위해 영해 바깥쪽에 접속수역을 설정해 놓고 있다.

하지만 센카쿠열도를 자국 영토로 주장하는 중국은 일본이 설정한 센카쿠 주변 접속수역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해경국 선박을 지속해서 보내고 있다.

닛케이는 중국 움직임에 대해 "17일로 예정된 일·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을 위협하려는 의도라는 견해가 있다"고 전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제17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중국을 직접 거명하면서 "동중국해에서 중국에 의한 일본의 주권을 침해하는 활동이 계속 강화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는 동중국해에 있는 센카쿠 열도에 대한 중국 해경국의 영해 및 접속수역 진입 등을 거론한 것으로 해석된다.

기시다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7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태국 방콕에서 양자 정상회담을 한다.

중국과 일본 정상이 대면 회담을 하는 것은 시 주석과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2019년 12월 중국 베이징에서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난 뒤 약 3년 만이다.

연합뉴스

2013년 센카쿠 주변 수역에서 나란히 항해하는 중국(위)과 일본 해경 선박
[교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sungjinpar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