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라디오 인터뷰
"사전에도, 논문에도 나오는 용어…어떻게 번역하나"
"반여성적? 설명 좀 해달라"
![]() |
윤석열 대통령 부인인 김건희 여사가 12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선천성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14세 아동의 집을 찾아 건강 상태를 살피고 위로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홈페이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장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퍼블티 포르노(poverty pornography)라고 해야 하는데, 빈곤 포르노라는 말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지 모르겠다. 사전에도 나온 용어고, 논문에도 나오는 용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그는 지난 14일 “이번에도 여지없이 또 외교 참사가 발생했다, 김건희 여사의 빈곤 포르노 화보 촬영이 논란이 되고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에선 품위 손상을 이유로 장 최고위원을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하기로 했다.
장 최고위원은 “이미 수차례 언론에서 많이 언급이 됐는데, 많은 분들이 그걸 처음들었는지는 모르겠다. (포르노라는 말은) 인간의 욕망을 표현한 소설, 영화, 사진,그림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며 “이 용어에 대해서 문제 삼는 것이 단어 때문인지 아니면 김건희 여사에 대한 비판 때문인지 그 부분은 좀 명확히 하시면 좋을 것 같다”고 비꼬았다.
그는 “캄보디아는 동아시아 정상회의 개최국으로서 본인들의 국가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서 노력할 수밖에 없는데 마치 1992년도 소말리아 내전 당시에 오드리 햅번이 가서 했던 모습들을 홍보 수단으로 활용했다”며 “근래 들어서는 ‘볼런티어 투어리즘’이라고 해서 가급적 자제하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캄보디아 측의 (앙코르와트 방문) 공식적 요청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강행한 것이고, 그래서 좀 외교적 결례가 매우 심각하다. 이런 부분들 외교적 결례에 대해서 저는 좀 사과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포르노’라는 단어 사용에 대해 인격 모독적이고 반여성적이라는 여당의 비판에 대해 장 최고위원은 “빈곤 포르노라는 이 단어 안에 어떤 반여성적인 의미가 있는지 좀 설명을 해 주셨으면 좋겠다”며 “포르노그라피라는 단어 자체가 소설,영화, 사진, 그림, 글, 사진, 영상을 다 포함하는 개념인데 그걸 가지고 마치 특정 영상만을 의미하는 듯한 말씀들을 본인들이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