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오늘의 외교 소식

[연합시론] 尹 대통령 첫 동남아 순방…경제·안보 외교성과 기대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동남아 순방 나서는 윤석열 대통령 내외
(성남=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1일 오전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 및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다자회의 참석을 위해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해 인사하고 있다. 2022.11.11 see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1일 출국했다. 지난 5월 취임 이후 세 번째 해외 방문이자 첫 동남아 순방이다. 윤 대통령은 첫날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새 정부의 대아세안 정책을 발표하고 이튿날 아세안 회원국들과 한·중·일 3국이 함께하는 아세안+3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13일에는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가진 뒤 인도네시아 발리로 이동해 이틀간 G20 정상회의 일정을 소화한다. 여기에서는 G20 회원국 경제 단체와 기업 대표들이 참여하는 B20 서밋 기조연설과 G20 정상회의 식량·에너지·안보와 보건 세션의 연설을 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4박 6일 일정의 순방을 떠나기 전 페이스북에 "여러 고민이 많았지만, 우리 국익과 미래가 걸려있는 중요한 외교 일정이라 참석하게 됐다"면서 "국익과 경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들이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두 다자회의에는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 정상들이 참석할 예정이어서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는 세계 패권을 놓고 경쟁하는 미국과 중국이 앞다퉈 구애에 나서는 등 전략적 가치가 갈수록 부각되고 있다. 미·중 갈등의 영향권에 있는 우리나라로서도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지역이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이미 미국, 중국에 못지않은 우리의 핵심 파트너로 부상했다. 세계 5대 경제권인 아세안은 우리나라 제2의 교역·투자 대상이다. 지나친 미·중 의존에서 벗어나 수출과 투자를 다변화함으로써 경제 안보의 기반을 튼튼히 다져야 한다는 면에서 아세안은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기회의 땅이다. 이번 순방에서 윤 대통령은 자유·평화·번영의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과 새로운 대아세안 정책인 '한·아세안 연대 구상'을 내놓을 예정이다. 전임 문재인 정부도 신남방 정책을 의욕적으로 추진한 바 있다. 차이가 있다면 신남방 정책이 미국의 인·태 전략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반면 새 정책은 미국과 좀 더 보조를 맞춘다는 정도일 것이다. 정부가 상황 변화에 맞춰 개편한 대아세안 정책이 양자 간 교류 확대와 협력 강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이번 순방에서는 다자 회의뿐 아니라 미국, 중국, 일본 등과의 개별 회담도 주목된다. 13일 한미일 정상회담은 확정됐고, 한미 정상회담은 시간과 장소를 조율 중이다. 한일, 한중 정상회담은 미정이지만 개최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한다. 북한이 최근 무력 도발에 열을 올리는 등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국 정상들과 북한 핵·미사일 문제를 놓고 머리를 맞댈 좋은 기회인 만큼 회담 성사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북한 문제 외에도 미국과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일본과는 강제 동원 피해자 배상이라는 양자 현안도 대두해 있다. 중국과의 관계는 지난 3년간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을 정도로 냉랭하다. 모든 문제를 쾌도난마식으로 풀기는 어렵겠지만 외교 자산을 차곡차곡 쌓아간다는 마음가짐으로 나설 경우 해결의 실마리가 보일 것이다. 국내가 어수선한 가운데 나선 해외 순방이지만 이런 때일수록 집중력을 최대한 끌어올려 외교적 성과를 내야 한다. 무엇보다 지난 9월 영국·미국·캐나다 등 3개국 순방 때처럼 주변적 사안이 본질을 흔드는 일도 없도록 대통령실과 외교안보팀이 더욱 분발해주기를 바란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