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이제는 '국가무형문화재'인 갯벌어로…삶의 지혜 담긴 어촌문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문화재 지정…오랜 기간 전승되며 어로 기술·지식 등 아울러

연합뉴스

경기 화성시 백미리 갯벌 모습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경기도를 비롯한 서해 연안에서는 망둥어, 숭어, 곤쟁이 등을 잡을 때 '사두질'을 했다.

밀물 때 물이 들어오는 방향으로 사두 그물을 대고 갯벌을 밀고 나가면서 어획하는 방식이다. 지금도 경기 화성시 서신면 백미리에서는 전통 어법으로 이 방법을 쓰고 있다.

한국문화재재단은 백미리어촌체험마을과 함께 8일 국가무형문화재 '갯벌어로'의 한 종류로 사두질을 소개했다.

지난해 12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갯벌어로는 말 그대로 갯벌에서 맨손이나 도구로 조개·굴·낙지 등 해산물을 잡는 전통기술을 뜻한다.

각종 어로 기술이나 전통지식, 공동체 조직문화, 의례·의식을 모두 아우른다.

오랜 기간 이어져 온 갯벌어로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생업 방식이다.

갯벌은 다양한 해산물의 보고이자 우리나라 음식문화의 기반이 되는 공간이어서 예부터 '바다의 밭'으로 인식돼 '갯벌밭'이나 '굴밭' 등으로 불렸다.

지금도 해안 마을에서는 어촌계를 중심으로 갯벌을 공동으로 관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두질하는 어민 모습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갯벌어로는 해류, 조류, 지형, 지질 등에 따라 구체적인 방식이 조금씩 다른 점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펄 갯벌에서는 뻘배를 이용했고, 모래갯벌에서는 긁개나 갈퀴를 썼다. 여러 성분이 섞인 혼합 갯벌에서는 호미·가래·쇠스랑 같은 농기구를 활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백미리 마을은 지금도 갯벌어로가 잘 전승되는 대표 지역 중 하나이다.

이곳은 바다와 인접해 있어 해산물의 종류가 많고 맛도 많다는 의미에서 백미(百味)라고 불렀다고 한다. 2007년 체험 마을을 시작한 뒤에는 '백미리어촌체험마을'로 명칭을 정하기도 했다.

방문객들은 굴따기, 고동·게잡이, 망둥어 낚시 등 다양한 어로 방식을 체험할 수 있다.

특히 낚싯대를 사용하지 않고 낚시꾼이 직접 낚싯줄을 들고 물에 들어가는 망둥어 낚시나 비가 오는 날이나 야간에 사두질로 숭어를 잡는 체험 등이 잘 알려져 있다.

편성철 지역문화연구소 연구원은 "갯벌어로는 물때와 환경 등에 대한 전통 지식이 전승돼 온 것"이라며 "다양한 채취물을 바탕으로 우리 식(食) 문화의 한 축을 담당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사두질하는 어민 모습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