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모바일 게임 소식

유영상 "AI 3대 추진 전략 SKT 2.0 실현…2026년 기업가치 40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유영상 SKT 대표이사 사장./제공=SK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정문경 기자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핵심 사업을 AI 중심으로 재정의하는 등의 'SKT 2.0'를 실현하기 위한 3대 전략을 7일 밝혔다. SKT는 3대 전략을 기반으로 오는 2026년까지 SKT의 기업가치를 40조원 이상으로 키워 대한민국 대표 AI 컴퍼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취임 1주년을 맞아 전체 구성원과 타운홀 미팅을 갖고 '기술과 서비스로 고객을 이롭게 하는 AI Company'라는 SKT 2.0의 진화된 비전을 밝혔다. 유 대표는 "지난 1년간 전 구성원의 노력으로 SKT 2.0의 비전이 보다 뚜렷하고 명확하게 정리됐다"며 "본업인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연결 기술에 AI를 더하는 SKT만의 차별화된 'AI 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현 5대 사업군을 3대 추진 전략 △핵심 사업을 AI로 재정의 △AI서비스로 고객 관계 혁신 △AIX으로 혁신한다고 밝혔다. 핵심 사업을 AI로 재정의 하는 전략은 유무선 통신과 미디어, 엔터프라이즈 등 기존의 핵심 사업들을 AI로 전환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유 대표는 "SKT는 고객이 온라인에서 서비스·제품의 탐색부터 가입, 이용까지 전 과정을 막힘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 전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고객의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전 과정에 AI를 적용하는 'AI MNO'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디어 영역은 부족한 콘텐츠 역량을 키우기 위해 IPTV·채널·T커머스 등으로 흩어져 있는 미디어 자산을 통합하고, AI 기술을 결합해 고객에게 딱 맞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AI 미디어 플레이어'를 선보이겠다"며 "엔터프라이즈 영역에선 데이터센터, 전용회선,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AI의 6대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고객의 AI 전환을 지원하는 'AI 엔터프라이즈'로 업을 재정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고객 관계 혁신은 에이닷(A.), 이프랜드(ifland), T우주 등의 AI 기반 서비스들에 새로운 기술과 콘텐츠를 적용해 AI 서비스와 고객의 관계를 보다 밀접하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에이닷은 고객의 사용을 이끌어 내기 위한 킬러 서비스의 발굴,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들의 콘텐츠 우선 순위 조정 등과 동시에 AI 핵심 기술이나 캐릭터, 콘텐츠 관련 역량을 보유한 기업에 투자하는 등 핵심 역량을 지속 확보할 계획이다.

이프랜드는 글로벌 진출과 다양한 업체들과의 공동 콘텐츠 개발로 글로벌 톱티어 메타버스 서비스로 도약하고 소셜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며 이프랜드의 재화를 현실 경제와 연계하는 크립토 기반 경제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T우주는 구독 전용 플랫폼을 구축해 AI를 통해 고객에게 최적의 구독상품을 안내하고, 파트너사들에겐 구독모델 기반의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AI 기반 커머스 구독 플랫폼으로 진화한다.

AIX는 AI나 디지털 전환(DT)을 필요로 하는 기업을 찾아 투자 또는 인수하고, SKT가 보유한 AI·DT 역량을 확산시키는 것이다. SKT는 제조 영역에서 로봇이나 비전 AI 등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거나, 헬스케어 영역에서 엑스칼리버(X-Caliber) 같은 AI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하는 등 다양한 AIX 사례를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SKT는 T(SKT)와 B(SK브로드밴드)의 리뉴얼 브랜드를 공개하며, SKB와의 협력에 따른 성과를 공개했다. 유 대표는 "올해 SKB와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T-B 시너지'를 창출, 사상 최대인 17조원 이상의 연결 매출이 예상된다"며 "유무선 통신에서 5G 가입자 1300만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으며 유선방송 가입자 순증 1위 기록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고 강조했다.

엔터프라이즈에선 가산데이터센터의 본격적인 실적 창출, 공공 영역에서의 활발한 클라우드 사업 전개, SKT와 SKB의 전용회선 공동 수주를 통한 수주량 증대 등으로 관련 매출이 전년 대비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에이닷은 A.tv와 게임 등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선보이며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이프랜드는 경제시스템과 오리지널 콘텐츠 등을 새롭게 도입해 월간 실사용자가 360만을 넘어서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T우주도 제휴 파트너사 2배 확대와 신규 구독 상품의 연 이은 출시로 월간 실이용자가 180만을 넘어서는 등 국내 대표 구독 서비스로 자리매김했다. AI 반도체 분야에서도 '사피온'의 미국과 한국 법인 동시 설립 및 인재 확보 등을 통해 글로벌 톱 수준의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

유 대표는 "T월드와 오프라인 매장 등 접점에서의 고객 방문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해결책인 디지털 전환의 진척이 더딘 상태라며 유무선 통신 본업에서의 DT 필요성이 중요하다"며 "거시적 글로벌 환경의 급변으로 과거의 패러다임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가 됐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철저한 준비에 돌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