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높이 10.2m 달해
2000만 년 전 한반도 식생 등 비밀 풀 실마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북 포항 지역에 분포한 암석은 특별하다. 뜨거운 마그마가 식어 만들어진 화성암이 아니다. 미세한 진흙이 쌓여서 딱딱하게 굳은 이암이다. 형성 과정에서 생물이 함께 퇴적돼 화석으로 나타나곤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국립문화재연구원 천연기념물센터 수장고에 보관된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이 손꼽힌다. 김항묵 부산대 교수팀이 2009년 남구 동해면 금광리의 국도(일원~문덕) 공사 현장에서 발굴했다. 높이 10.2m, 폭 0.9~1.3m로 국내에서 발견된 나무화석 가운데 가장 크다. 살아 있는 나무라는 착각이 들 만큼 보존 상태도 좋다.
문화재청은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관리한다고 4일 예고했다.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은 전 세계 다른 나무화석들과 견줘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크기를 자랑한다. 다수의 옹이(나무의 몸에 박힌 가지의 밑부분)와 나뭇결, 나이테도 표면과 단면이 원형에 가깝게 보존됐다. 약 2000만 년 전 한반도 식생과 퇴적환경의 비밀을 풀 실마리로 평가된다. 표면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보존 상태가 달라 목재의 화석화 과정도 잘 보여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수종은 나이테의 경계·폭, 내부 관과 세포의 배열 특성 등으로 미루어 나자식물(밑씨가 씨방 안에 있지 않고 드러나 있는 식물) 측백나무과다. 지금의 메타세쿼이아나 세쿼이아와 유사하다고 판단된다. 이근영 문화재보존국 천연기념물과 사무관은 "정확한 결론을 내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 나무화석은 발견됐을 때부터 천연기념물이나 다름없는 관리를 받았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이 2011년 지게차 세 대로 조심스럽게 들어 올려 무진동 차량으로 운송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와 함께 3년간 이물질을 제거하고 갈라짐을 막아주는 약품을 바른 뒤 파편을 접합하는 보존처리를 했다.
이 사무관은 "대형 나무화석은 해외에서도 천연기념물 또는 국가공원 등으로 지정해 보호하는 소중한 자연유산"이라며 "'포항 금광리 신생대 나무화석'이 국내 최초의 천연기념물 나무화석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