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5세대 이동통신

야구장 핫스팟도 만들었는데…'진짜 5G' 못 쓰고 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3년 전, LTE보다 스무 배 빠르다던 5G 서비스가 시작됐지만, 이런 속도를 제대로 누려봤다는 이야기 듣기 어렵습니다. 곳곳에 초고주파 기지국을 더 설치해야 이 속도를 누릴 수 있는데, 비용 때문에 투자가 더디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성진 기자입니다.

<기자>

상점가에서 5G 속도를 재봤습니다.

초당 평균 속도는 500메가 안팎.

LTE보다 20배 빠른 20기가 제공 약속에 한참 모자랍니다.

5G 서비스는 3.5㎓나 28㎓의 주파수를 이용하는데, 20배 속도는 28㎓ 주파수에서 가능합니다.

2018년 주파수 할당 당시 통신사들은 28㎓ 기지국을 4만 5천 개 설치하기로 약속했지만, 현재 설치된 건 10% 수준.

28㎓는 도달 거리가 짧아 기지국을 많이 설치해야 해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통신사들은 야구장처럼 사람이 몰리는 지역 11곳에 28㎓ 기지국 설치해 이른바 핫스팟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시범 사업 후 일부 지역은 서비스를 중단했습니다.

또 연말까지 서울 지하철에 28㎓ 초고속 와이파이를 개통하겠다고도 했습니다.

지하철에 직접 찾아가 속도를 재봤습니다.

평균 400메가 안팎으로 기존 와이파이보다는 빠르지만 정부가 목표로 제시한 700메가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상당수 구간은 광케이블과 공유기 설치 승인도 아직 밟지 않았습니다.

[변재일/국회 과기방통위 위원 : (28㎓ 주파수가) 할당된 지 4년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거든요. 어떻게 본다면 이것은 5G 정책의 실패가 아니냐 이런 지적까지 나옵니다.]

28㎓ 주파수 할당 기간은 내년 하반기 끝날 예정인데,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년째 활용 방안만 찾고 있습니다.
정성진 기자(captain@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