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바다에 한 번 뜨면 최대 6시간 운용 가능
충남 서천 홍원항, 천리포해수욕장에 실제투입]
국내 연구진이 바다쓰레기를 수거하는 무인 청소로봇을 개발했다. 자율주행은 물론 1㎞ 이상 원격 조종이 가능한 로봇이다. 이 로봇은 최근 서해에서 기술 실증까지 마친 만큼 향후 활용 범위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연)은 29일 하경남 해양로봇센터 박사 연구팀이 충청남도 서천 홍원항에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로봇에 대한 실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특히 연구진과 어민들이 개발 사양을 함께 결정한 '실생활 맞춤형 기술'로 그 가치가 더 크다는 평가다.
해양쓰레기는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 부유성 쓰레기로 경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수중에 침전돼 해양생태계를 교란하는 주범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수거율은 40%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조류나 파도에 휩쓸려 항·포구에 유입된 해양쓰레기는 계류 중인 선박 사이에 쌓여 대형 수거 선박은 접근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항·포구와 같은 좁은 지역에서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 개발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어민들의 기술 수요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방식과 원격조종 방식이 모두 가능한 기술 설계를 도출했다.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해양로봇센터 내 공학 수조에서 성능 시험도 거쳤다.
그 결과 무게 250㎏ 수거 로봇이 개발됐다. 물 위에서 1.2㎧의 속도로 4~6시간 운용할 수 있는 사양이다. 특히 GPS(글로벌 위성항법 시스템) 기반의 체계를 활용해 자율주행할 수 있도록 했다. 자율주행 알고리즘, 이동 물체의 속도·방향·가속도를 측정하는 장치 등으로 장애물을 피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원격조종을 위해선 1㎞ 이상 떨어진 곳에서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조종법이 쉽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무선 컨트롤러를 적용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로봇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소재를 활용해 외형은 가벼우면서도 강하다.
하경남 박사는 "로봇 시제품은 시험평가에서 무게, 속도, 운용 시간, 통신거리 등 모든 항목에서 목표 성능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서천 홍원항 실증시험을 거쳐 현재 로봇은 충남에 이관됐다"고 설명했다.
충남도는 지난 17일 태양 천리포해수욕장에서 로봇을 투입해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기도 했다. 향후 절벽, 동굴과 같은 사각지대의 해양쓰레기 수거 등으로 활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바다쓰레기를 수거하는 자율주행 로봇. / 사진제공=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인한 기자 science.inha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