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MZ세대(1980년~2000년생) 27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에서 가장 선호하는 소통방식이 '문자, 메시지 등 텍스트'란 응답이 61.4%라고 20일 밝혔다. 이 밖에 대면 소통(18.5%)과 전화 소통(18.1%)으로 조사돼 텍스트 소통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3배 이상 차이가 났다.
특히 응답자 전체의 29.9%는 전화 통화 시 긴장과 불안, 두려움 등을 느끼는 이른바 '콜 포비아(전화 공포증)'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증상으로는 '전화를 받기 전 높은 긴장감이나 불안을 느낀다'는 응답이 62.6%(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전화 수신을 미루거나 거부(53.5%), 대화에 대한 염려(49.7%), 통화 중 심장 박동이 빨라지거나 식은 땀이 나는 등 신체 변화(38.1%) 등이다.
전화 통화에 어려움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생각을 정리할 틈 없이 바로 대답해야 해서(59.1%, 복수응답)로 나타났다. 더불어 △생각한 바를 제대로 말하지 못할 것 같아 걱정돼서(53.8%) △문자·메시지 등 텍스트 소통에 익숙해져서(46.6%) △할 말이 떨어졌을 때의 침묵이 불안해서(29.2%) △대화 내용을 잘 알아듣지 못할 것 같아 염려돼서(29.2%) 등의 이유가 있었다.
전화 공포증 증상의 차이는 있었다. △지원, 면접 등 구직 관련 전화를 할 때(69.8%) △직장 상사나 거래처 등 업무상 전화를 할 때(54.0%) △오랜만에 가족들에게 안부 전화를 할 때(26.4%) △친구·연인·가족과 일상적인 이야기를 할 때(13.8%) 등 가깝고 편한 사이의 사적인 상황에 대한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알바천국의 아르바이트 구직 데이터에서도 '문자 지원' 비율이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 전체 아르바이트 지원량 중 문자 지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34.2%로 지난해 동기(14.6%) 대비 19.7%포인트 늘었다. 반면 지난해 상반기 전체 지원량 중 절반 가량(45.1%)을 차지했던 전화 지원 비중은 올해 34.5%에 그쳤다.
자신만의 전화 공포증 대처 방법으로 모르는 전화는 받지 않기(38.3%)가 1위 방법으로 꼽혔으며 전화 통화 전 대본 작성(28.6%)과 이메일, 문자 위주 소통(27.5%) 등이다.
응답자 10명 중 7명(70.0%)은 텍스트 중심의 소통이 늘어나는 현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텍스트 소통은 대화 기록 등이 상세하게 남아 편리하다는 의견이 60.6%(복수응답)을 차지했다. 부정적이라 답한 이들은(30.0%) 텍스트 소통만으로는 상대방의 감정을 헤아리는 데 어려움(67.3%, 복수응답)이 있다고 토로했다.
이재윤 기자 mto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