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원자재 수입물가 상승률 1%P 증가시 생산자물가 0.13%P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격전가, 제조업·건설업·전기가스·서비스업 순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원자재 수입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증가하면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약 0.13%포인트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물가 충격 시 산업별 가격전가 정도는 제조업·건설업·전기가스·서비스업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30일 '수입 물가 상승의 산업별 가격전가 분석' 보고서에서 "수입 물가 상승의 최종재 가격 전가는 중간재보다는 원자재 수입물가 충격시 더 크게 나타난다"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 들어 빠르게 상승한 수입 물가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화·서비스 가격으로 전가돼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 통상 수입 물가 상승의 가격전가는 '수입 물가 상승→생산 비용 증가→최종재 가격 상승'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입 물가 상승의 최종재 가격 전가는 중간재보다는 원자재 수입 물가 충격 시 더 크게 나타났다. 원자재 중에서는 1%포인트 단위 충격 시 곡물 등 농수산품 충격의 영향이 에너지, 금속 등 광산품에 비해 더 크고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단기적으로는 수입 물가 하락 시보다 상승 시에, 또 상승폭이 작을 때보다 클 때 가격전가 정도가 더 높은 비대칭성·비선형성을 확인했다.

가격전가비율을 살펴보면 원자재 수입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증가 시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약 0.13%포인트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나(가격전가비율 0.13) 수입 중간재 물가 가격전가비율(0.08)을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입 원자재 품목별로 보면 농수산품의 가격전가비율(0.15)이 광산품(0.11)보다 높게 추정됐다.

산업별 가격전가 정도는 수입 원자재 투입비중, 수요의 가격탄력성, 시장집중도, 정부정책 반영 가능성 등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추정됐다.

제조업의 경우 수입 원자재 투입비중이 높은 석유정제·화학·철강 등은 가격전가가 크게 일어나나 IT제조, 운송장비 등은 투입비중이 낮고 수요가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해 가격전가 정도가 낮았다. 자동차는 선택재로서 높은 가격탄력성, 낮은 원자재 투입비중 등으로 가격전가 정도가 대체로 낮을 것으로 평가됐다.

서비스업은 가격전가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지 않으나 항공·해운 등 운수는 원자재 투입비중과 시장집중도가 높아 가격전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일어났다.

건설업의 경우 생산비용 증가가 최종재 가격에 반영되는 정도가 높아 가격전가가 크게 나타났다. 전기가스업은 석탄·천연가스 등 원자재 투입비중은 상당히 높으나 정부 정책에 따라 가격전가가 일부 제한됐다.

한은 조사총괄팀 이광원 과장은 "수입 물가 가격전가의 비대칭성·비선형성에 비춰볼 때 최근과 같이 국제원자재 가격이 등락을 반복하더라도 인플레이션 상방 압력이 클 수 있다"며 "물가 안정 정책 및 경제전망 수행 시 산업별 수입 물가 가격 전가 정도에 차이가 크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