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6G 주도권 전쟁

과기정통부, 9000억 규모 '6G 산업 기술개발' 사업 공청회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내달 예타 신청 계획
뉴시스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이진영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5일 '차세대 네트워크(6G) 산업 기술개발(R&D)' 기획안에 대해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를 통해 6G 산업 기술개발 사업에 대해 산·학·연의 관심과 협력을 유도하고 폭넓은 의견을 수렴해 기획안을 보완, 내달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공모에 신청할 예정이다.

6G R&D 예타 사업은 오는 2024년부터 2030년까지 7년간 약 9000억원으로 규모로 기획하고 있다. ▲6G 무선통신 ▲6G 무선통신 부품 ▲6G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6G 유선 네트워크 ▲6G 시스템 ▲6G 기반조성 등 6개 분야에 대해 중점 기획했다.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6G 기술·표준 선도를 위해 작년부터 추진 중인 6G 원천기술개발(2021~2025년, 총 1917억원)과 이 사업을 병행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공청회는 6개의 각 분야에 대한 발제를 토대로 6G 미래상과 향후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연세대학교 김광순 교수를 시작으로, 서울대 오정석 교수, 성균관대 추현승 교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권오균 책임, 서울대학교 이경한 교수, ETRI 장성철 책임, 인하대 장경희 교수 등 순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이어 과기정통부 심규열 혁신네트워크팀장,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최성호 통신네트워크 PM, LG전자 정재훈 연구위원, ETRI 김일규 이동통신연구본부장, SK텔레콤 박종관 그룹장 및 분과위원장 등과 함께 기획 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및 의견 수렴을 위한 패널 토의를 진행한다.

과기정통부 김정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우리나라는 작년부터 6G 원천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나 경쟁국 대비 작은 투자 규모로 글로벌 주도권 경쟁에 뒤처질 우려가 있는 만큼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면서 "6G는 미래 IT 산업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바꿀 수 있는 디지털 시대의 핵심 기반이자 글로벌 경쟁의 향방을 가를 필수전략기술인 만큼 산·학·연 전문가 및 국민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int@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