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카이스트, 미생물 이용해 고효율 루테인 생산 기술 최초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미생물을 이용한 고효율 루테인 생산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루테인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세계일보

루테인 생산 대사회로 조작 모식도. 카이스트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달걀 노른자위·과일 등에 함유된 영양물질인 루테인은 노안·백내장 등에 예방·치료 효과가 있어 눈 영양제로 많이 판매된다.

현재 시장에 공급되는 루테인은 주로 금잔화(marigold) 꽃에서 추출해 생산되지만, 금잔화 꽃 재배에 토지·시간·노동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량으로 공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미생물 대사회로를 조작하는 기술인 대사공학을 이용해 대장균 내 루테인 생산 대사회로를 구축했다.

값싼 바이오매스(에너지원 등으로 사용되는 생물)의 주원료인 글리세롤을 사용해 고부가가치인 루테인을 생산하는 대장균 균주를 개발하고, 이 대장균 균주에 추가로 시스템 대사공학 기술과 세포 내 대사 반응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인 대사회로 전자 채널링을 도입해 대장균에서 고효율로 루테인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같은 전자 채널링 전략을 사용해 대장균에서 자몽 향기 성분인 누카톤(nootkatone)과 항노화 천연화합물인 아피제닌(apigenin) 등도 생산해냈다.

연구에 참여한 박선영 박사는 “이번 기술을 활용해 미생물 기반 의약품·영양 보조제 등의 제품을 만드는 데 한 단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강은선 기자 groov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