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6G 주도권 전쟁

LGU+, 클라우드 기반 6G 인프라 구축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니퍼네트웍스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IP 유선장비 실증
"품질관리·장애복구 쉬운 것이 특징"
오픈랜 연구 지속


파이낸셜뉴스

LG유플러스 직원이 1일 마곡사옥에 설치된 주니퍼네트웍스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스위치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LG유플러스는 주니퍼네트웍스와 함께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6세대이동통신(6G) IP 유선장비를 실증했다고 1일 밝혔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소프트웨어(SW)를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MSA)로 모듈화하고,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통신사가 이 기술을 네트워크에 적용하면 다양한 서비스별 요구사항에 따라 자원을 자유롭게 변경·배치할 수 있는 '컴포저블 인프라(Composable infrastructure)로 진화할 수 있다. 이 같은 이유에서 6G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IP 유선장비를 활용하면 트래픽이 증가할 때 장비의 성능·용량을 확장해 최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 중 장애 복구 조치, 애플리케이션(앱) 배포 등 운영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주니퍼네트웍스는 스위치·라우터·보안 분야 글로벌 통신장비 업체다. 안정적인 고성능 하드웨어에 오픈소스 컨테이너 기반 네트워크 운영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글로벌 통신사업자 및 초대형 클라우드 사업자들과 협력하고 있다.

이번 실증은 주니퍼네트웍스의 기술과 솔루션으로 LG유플러스의 네트워크가 진화하는 방향성을 검증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편 LG유플러스는 6G 차세대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전체 네트워크 인프라를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작업에 착수 중이다. 지난해 클라우드 백본 장비와 아마존웹서비스(AWS) 클라우드에 5세대이동통신(5G) 코어 장비-MEC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하는 실증을 완료한 바 있다.

지난 5월에는 주니퍼네트웍스와 개방형무선접속망(오픈랜) 핵심 기술인 '소프트웨어 플랫폼 RAN 지능형 컨트롤러(RIC)' 기술 검증을 마쳤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차세대 네트워크 클라우드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트래픽이 증가하거나 장애 시에도 서비스 중단없이 최적의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며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해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겠다"고 전했다.

채기병 한국주니퍼네트웍스 지사장은 "주니퍼네트웍스는 이번 실증을 통해 최고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LG유플러스와의 협업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를 통해 LG유플러스의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여정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협업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 #클라우드 #6G #오픈랜 #주니퍼네트웍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