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의미 축소'에 한국 저자세 외교 논란도
외교부 "회담 성사 자체가 일본의 진지한 대응"
박진 외교부 장관이 20일 오전 도쿄의 한 호텔에서 한국 언론사 특파원들과 만나 일본 방문 중 외교 활동 등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박 장관은 18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장관과 회담하고 19일에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를 예방했다. 도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진 외교부 장관이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에 일본 측도 성의 있게 호응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사과나 배상 참여 등 일본 측이 최소한의 성의는 보여야 피해자를 설득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박 장관은 20일 오전 도쿄의 한 호텔에서 열린 특파원 간담회에서 "우리 국민이 볼 때 일본 측의 성의 있는 조치가 있어야 (사태가) 원만히 해결될 수 있다는 얘기를 일본 주요 인사를 만날 때마다 드렸다"며 "일본 정부도 호응할 용의를 갖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다만 '성의 있는 호응'을 '피고 기업의 사과와 배상 과정 참여'로 해석해도 되느냐는 물음에는 답변을 피했다.
앞서 박 장관은 18일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장관과 회담에서 '현금화(일본 기업의 자산 매각)가 이루어지기 전에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겠다'는 한국 정부의 뜻을 일본 정부에 전달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도 한국의 노력을 평가했다고 박 장관은 전했다.
일본을 방문 중인 박진 외교부 장관이 19일 오후 도쿄 총리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를 예방,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방일 성사 자체가 일본 정부의 진지한 대응 일환"
그러나 4년 7개월 만에 일본을 방문한 한국 외교장관에 대한 대접은 '환대'와는 거리가 멀었다. 외교장관 회담은 모두발언이나 공식 기자회견을 생략해 언론 공개를 최소화했고, 기시다 총리 예방도 전날 저녁에야 관저에서 '고(go) 사인'이 나왔다고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은 보도했다. 총리 관저는 박 장관의 예방을 "아베 신조 전 총리에 대한 조의를 표명하기 위한 것" 수준으로 의미를 축소하기도 했다. 한일 관계 개선에 부정적인 일본 여론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국내에선 '저자세 외교'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우리가 만나고 싶었던 사람은 모두 만났고, 회담에서 실질적 논의를 했기 때문에 성과가 있었던 방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갑작스런 아베 전 총리의 사망으로 기시다 내각이 어려운 와중에 "외교장관 방일 회담이 성사된 것 자체가 일본의 진지한 대응의 일환으로 본다"며 "앞으로 한일 관계 변화의 신호탄"이라고 평가했다.
방일 중인 박진 외교부 장관이 19일 모리 요시로 전 일본 총리와 면담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일 관계 개선 물꼬 트는 목적 달성했다"
박 장관은 2박 3일의 방문 일정 중 첫날인 18일은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장관과 회담 및 저녁 식사를 했다. 다음 날은 기시다 총리와 모리 요시로, 스가 요시히데 등 전·현직 총리를 비롯해 모테기 도시미쓰 자민당 간사장, 후쿠다 다쓰오 다민당 총무회장 등 10명이 넘는 정계 인사를 만났다.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 미무라 아키오 일본상공회의소 회두 등 재계 인사들과 오찬도 함께 했다. 박 장관은 일본 주요 인사와의 만남을 근거로 "(자신이) 한일 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기 위해서 왔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다음 달 캄보디아에서 열리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외교장관 회담에서 "하야시 장관을 다시 만날 것을 기대한다"면서 "한일 간 '셔틀 대화'를 지속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아울러 한일 정상회담은 △유엔총회 △아세안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연내 예정된 다자회의를 활용해 "상호 편리한 시기에 자연스럽게 성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도쿄= 최진주 특파원 pariscom@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