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달러당 원화값이 장중 1316원대를 돌파하는 등 13년 만에 최저치를 찍은 후 종가로는 전 거래일 대비 8.2원 하락한 1312.1원에 거래를 마쳤다. 세계 경기 침체 우려로 원화값이 떨어진 가운데 코스피 역시 전날보다 22.51포인트(0.96%) 하락한 2317.76에 마감했다. [이승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달러당 원화값이 속절없이 추락하며 연중 최저치를 다시 경신한 것은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오히려 원화값이 크게 하락한 것은 우리나라 경제를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우세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원화값 하락이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이는 다시 기업 실적 악화로 이어져 외국인 자금이 이탈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12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달러당 원화값은 전날 종가(1303.9원) 대비 8.2원 하락한 1312.1원으로 마감했다. 원화값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7월 13일(1315원)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날 외환시장은 13일(현지시간) 발표되는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을 주목했다. 지난 5월 미국 CPI 상승률이 40년 만에 최고 수준인 8.6%를 기록한 데 이어 6월에는 더 높은 수치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강한 긴축적 통화정책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한은도 13일 열리는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에서 사상 처음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6%까지 치솟은 국내 물가상승률과 3.9%에 달하는 기대 인플레이션율, 여기에 급락하는 달러당 원화값까지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사상 첫 '3회 연속 인상'에 나설 명분은 충분한 상황이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 4월과 5월 연속해 각각 0.25%포인트씩 인상하고 기준금리를 1.75%까지 끌어올렸다. 문제는 미국 연준이 물가를 잡기 위해 이달 26~27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에 나설 경우 한은 금통위가 빅스텝을 밟아도 한미 정책금리가 역전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국내 시장에서 외국인 자본 유출을 촉발시켜 원화값 하락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1.50~1.75%로 사실상 한국과 같은 수준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은 금통위를 앞두고 오히려 원화값이 하락하며 외환당국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당국은 원화 가치 방어를 위해 올해 1분기에만 역대 최대 규모인 83억1100만달러를 순매도했다. 우리나라 외환보유액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지난 6월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382억8000만달러로, 전달보다 94억3000만달러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11월(117억5000만달러 감소) 이후 13년7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통상 원화 가치 하락은 우리나라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강화해 외화 유입으로 연결됐다. 하지만 최근엔 세계 경제성장률이 꺾이며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과 무역수지 적자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만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무역수지는 55억2800만달러 적자(통관 기준 잠정치)를 기록했다. 만약 이달 말 무역 적자가 확정되면 2008년 이후 14년 만에 4개월 연속 무역 적자를 기록하게 된다. 서정훈 하나은행 수석전문위원은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한다는 건 기업들이 제품을 팔아도 이익이 남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실적 악화는 원화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러시아의 서방국에 대한 경제 제재 여파로 유로화 가치도 2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11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날 유로당 달러값은 전일 대비 약 1.4% 내린 1.0040달러를 기록했다. 1유로 가치가 1달러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연초와 비교했을 때 달러당 유로화 가치는 약 12% 하락했다. 이는 유럽 에너지 위기가 유로존 경기 침체 우려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유럽연합(EU)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에 천연가스의 40%를 러시아에서 수입했다. 독일은 자국의 가스 공급량의 55%를 러시아에 의존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스 가격이 치솟은 데다 러시아가 에너지 공급을 줄이면서 EU는 큰 타격을 받고 있다.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달러 가치가 급등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김유신 기자 / 안병준 기자 / 권한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