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코로나19 백신 개발

"변이 한번에 대응" 화이자 '범코로나 백신' 연구…연내 임상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NIH·육군 등도 개발 중…미래 발생할 변이에 효과적 대응 기대

오미크론 변이용 백신 출시도 준비 중…美 정부에 1억회분 추가 공급 계획

뉴스1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성재준 바이오전문기자 = 다국적제약사 화이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뿐 아니라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는 '범 코로나' 백신 개발에 나섰다.

현재 화이자뿐 아니라 미국 국립보건원(NIH)이나 육군연구소 등 다른 기관들도 범 코로나 백신을 연구 중이다. 개발에 성공한다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코로나19 변이에도 손쉽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올 하반기 범코로나백신 임상시작 예상

5일 업계에 따르면 화이자는 최근 투자설명회에서 코로나19 백신을 공동 개발한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함께 범 코로나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이자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 중 임상시험을 시작할 계획이다. 양사는 면역세포인 T세포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 백신을 개발할 예정이다. T세포는 활성화되면 병원체에 감염된 감염 세포나 암 등의 종양세포를 인식해 직접 공격한다. 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와 함께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범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이 개발되면 이후 발생할 코로나19 변이에도 바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엔테크 측은 백신 개발에 대해 "새로운 변이가 출현하기 전에 위협을 줄이는 '지속적인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美, NIH 12억달러 투자…육군은 4월부터 임상1상 시작

범 코로나 백신 개발 노력은 코로나19 유행 초기부터 계속됐다. 변이 발생이 자주 일어나는 코로나19 특성상, 매번 발생하는 변이에 맞춰 백신을 개발해 접종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변이가 발생할 때마다 기존 백신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이미 미국 NIH는 지난 2021년 9월 범 코로나 백신 개발을 위해 약 12억달러(약 1조5553억원)를 투자했다. NIH 산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도 이를 위해 몇몇 연구기관에 3630만달러(약 470억원)를 지원했다.

최근 미국 듀크대 백신연구소 연구팀은 'DH1014'라는 항체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이 항체는 지난 2003년 유행했던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모두 결합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에서 발견한 것 중 하나는 여러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보존됐거나 존재하는 부위를 특이적으로 표적화할 수 있는 항체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위에 초점을 맞춘 백신을 설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월터리드 미 육군병원 연구팀은 여러 항체를 이용해 바이러스의 다양한 부위에 결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백신 후보는 영장류를 대상으로 전임상을 마치고 지난 4월부터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1상에 들어갔다.

신종 전염병 대비를 위한 전 세계 연합체인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 또한 지난 3월 다가올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차세대 범 코로나 백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CEPI는 5년 이내에 백신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화이자 오미크론용 백신 곧 출시…항체 생성 20배↑

한편 화이자는 곧 코로나19 오미크론용 백신을 추가로 공급할 예정이다.

화이자에 따르면 이 백신은 임상시험에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중화항체 수준이 기존 백신에 비해 13.5~19.6배가량 늘어났다.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오미크론용 항원이 모두 포함된 2가 백신도 기존 백신에 비해 중화항체 발생이 9~10배 많았다. 다만 두 백신 모두 최근 증가세를 보이는 BA.4와 BA.5에 대해선 면역반응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이자는 지난 6월 말, 미국 정부와 오미크론용을 포함해 코로나19 백신 1억500만회분을 추가로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미국 정부는 1억500만회분을 인도받는 즉시 화이자 측에 32억달러(약 4조1584억원)를 지급한다.

한편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올가을 코로나19 재유행 위험이 커지면서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부스터샷)에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A.4와 BA.5 변이 항원을 새로 포함하도록 권유했다.
jjsung@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