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전하게 발굴된 조선 전기 취두 공개
조선 왕실 마루장식기와 면면 드러낼 열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달 태안군 남면 양잠리 청포대 갯벌에서 취두(鷲頭) 상단을 출토했다. 취두는 궁궐 등의 용마루(건물 지붕 중앙에 있는 주된 마루) 양쪽 끝에 설치하는 대형 장식기와다. 통상 세 조각으로 나눠 제작한다. 각 부분을 조립해 설치한다. 2019년 조개를 캐던 주민은 이 취두 하단을 발견했다. 지난해 6월에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또 다른 조각인 검파(劍把·취두 상단에 꽂는 칼자루 모양의 토제 장식품)를 찾았다.
온전하게 발굴된 취두가 2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처음 공개됐다. 경복궁·회암사지 출토품, 중국 명대 정문 등과 형태가 유사한 조선 전기의 것이다. 가장 눈에 띄는 조각은 칼 손잡이 모양의 검파. 빗물의 취두 내부 진입을 막는 용도로 사용됐다. 크기는 길이 40.5㎝, 높이 6.5㎝, 너비 16㎝, 무게 4.2㎏이다. 하단에 취두 상단 방형 구멍에 들어갈 자루가 있다. 앞뒷면에는 2단으로 구름무늬가 표현됐다. 조선 전기 검파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조선 후기 취두는 문양 없는 간략한 막대 모양"이라고 했다. 이어 한 쌍의 취두 하단부에 부조된 용 문양을 가리키며 "규격화된 형태의 용 도상을 마련해 엄격하게 적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완전한 형태의 용머리 장식기와는 조선 왕실 마루장식기와의 면면을 드러낼 열쇠다. 경복궁·회암사지 등 조선 전기 왕실 건축물의 세부 모습을 고증할 유일한 고고 자료로도 평가된다. 연구소는 8월 중순까지 청포대 갯벌에서 추가 발굴조사와 수중탐사를 진행해 관련 유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관련 고선박의 존재 유무와 왕실 장식기와 생산·유통 연구 등도 본격화한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