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문화재연구소 청포대 발굴…"왕실 장식기와 완전한 형태 알게 돼"
"서울서 지방 가던 난파선에 실린 듯…구체적 매장 경위는 의문"
용머리 장식기와 '취두'와 칼마루 모양 장식품 '검파'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조선시대 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에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용머리 장식기와 '취두'(鷲頭) 상부와 취두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토제(土製) 장식품인 '검파'(劍把)가 충남 태안 갯벌에서 추가로 발견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5월 태안 청포대 갯벌 발굴조사를 통해 조선 전기 취두 상부 1점과 검파 1점을 찾아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소는 지난해에도 이곳에서 취두 상부와 하부 각 1점을 출토한 바 있다.
이에 앞서 2019년에는 조개를 캐던 주민이 지붕에 얹는 장수상과 취두 하부를 발견해 신고하기도 했다. 이 취두 하부는 올해 나온 취두 상부와 짝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됐다.
태안 청포대 갯벌에서 나온 조선 전기 장식기와와 장수상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장수상이 조선 전기 양식을 띠고 있고, 취두와 검파도 주변 지역에서 수습됐다는 점에서 모두 같은 시기 산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또 조선 전기에 용무늬는 왕실이 사실상 독점한 상징이라는 점에서 취두, 검파, 장수상이 왕실 관련 건축물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물품이라고 추측했다.
조선시대 궁궐 건축물 지붕에는 취두, 잡상(雜像) 등 여러 장식기와를 사용했다. 취두는 두 부분 또는 세 부분으로 분리해 만든 다음, 쇠못으로 고정해 지붕에 얹었다. 잡상은 추녀마루 위를 장식하는 기와로 장수상을 보통 맨 앞에 배치했다.
태안 청포대 갯벌에서 나온 검파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특히 길이 40.5㎝, 폭 16㎝, 두께 7㎝인 검파를 주목했다. 검파는 작년에 수습한 취두에 꽂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검파 앞면과 뒷면에는 2단 구름무늬가 있고, 아래쪽은 사각형 구멍에 부착할 수 있도록 자루를 갖췄다.
김동훈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은 "검파는 빗물이 취두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했다"며 "취두에 표현된 용이 용마루(지붕 가운데에 있는 가장 높은 수평 마루)를 갉아 먹지 말라는 의미도 있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관은 "청포대 갯벌 검파의 구름무늬는 창덕궁 인정문에 있는 조선 후기 용머리 장식기와의 검파가 간략한 막대 모양인 점과 차이가 있다"고 덧붙였다.
용머리 장식기와 '취두' |
취두 한 쌍은 전반적으로 형태가 유사하나, 용 문양의 갈퀴 표현 방식과 구레나룻 사이 돌기 개수 등이 다소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
취두는 전체 높이가 103㎝이며, 가로 길이는 83∼85㎝, 두께는 22㎝다.
조사단은 "검파가 발견되면서 조선 전기 취두의 완전한 형태를 알 수 있게 됐다"며 "왕실 특수기와 연구에 도움이 되는 매우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복궁 창건 시기 건물, 숭례문, 양주 회암사지 등 조선 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 모습을 유추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조사단은 취두 등이 태안 갯벌에 묻힌 정확한 이유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전했다.
김 연구관은 "서울 용산 일대에서 만든 기와를 실은 배가 한반도 남쪽으로 향하다 침몰한 것으로 보인다"며 "임금이 잠시 머물던 행궁이나 태조 초상화를 모신 전주 경기전 같은 곳에서 왕실 기와를 썼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는 "8월 중순까지 추가 발굴조사와 수중 탐사를 진행해 유물이나 옛 선박이 있는지 확인할 계획"이라며 "왕실 장식기와 생산과 유통에 관한 연구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창경궁 명정문 지붕 모습 |
psh59@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