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김근철의 글로벌워치] G7·나토로 결집한 서방, 중·러 도전에 '응전' 선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지난 주말부터 국제정치의 중심은 유럽으로 옮겨갔다. 독일에서 지난 26일부터 사흘간 열렸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마무리됐고, 29일부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다.

올해 G7 정상회의와 나토 정상회의를 관통하는 최대 현안은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다. 이번 G7 정상회의에서 기후 변화와 같은 글로벌 현안이 다뤄지긴 사실상 우크라이나 이슈에 모두 묻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를 반영하듯 서방 사회와 민주주의 진영의 리더를 자임하는 G7 정상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강력한 지원을 약속하고 러시아를 패퇴시키기 위한 압박과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선언했다. 나토 정상회의에서도 이에 버금가는 강력한 결의와 지지가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뉴스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는 자신들의 주도했던 국제질서에 심취해있던 미국과 유럽의 '방심'에 경종을 울렸다.

미국과 유럽은 냉전 종식이후 소련이 해체되고 홀로 남은 러시아를 경쟁에서 탈락한 '패배자' 정도로 여기는 경향이 강했다. 여전히 위협적인 존재이긴 했어도 적절히 관리해가는 대상 정도로 여겨졌다. 한때 G7에 러시아를 포함시켜 G8으로 운영했던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하지만 '21세기 차르'로 등극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이번 우크라이나 침공을 통해 러시아가 이제 다시 미국과 서방과 맞설 수 있게 됐고, 승리도 거머질 수 있다며 실력행사에 나섰다.

실제로 푸틴 대통령은 지난 17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국제경제포럼(SPIEF) 기조 연설에서 미국과 서방국가들은 지난 수십년 사이에 세계에서 새로운 힘의 중심이 출현하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속내를 드러냈다.

푸틴 대통령이 밝힌 '새로운 힘의 중심'이 어디인지는 자명하다. 바로 러시아와 중국이다. 냉전 종식이후 국제정치는 미국이 독주하는 '일극 체제'로 일컬어졌다. 유럽은 이런 미국에 편승해왔다.

이 시기에 미국의 전략가들이 짜놓은 대중국 전략도 중국을 서방 주도의 국제질서에 편입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춰졌다. 채찍보다는 당근을 내세운 셈이다.

하지만 중국 공산당이 흔들림없이 권력을 유지한 채 주요 2개국(G2)로 급성장한 중국은 이미 미국의 동반자가 아닌 최대 위협세력으로 자리 매김했다. 특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몽'을 통해 숨겨왔던 칼날과 힘을 드러내자 미국도 다시 부랴부랴 견제의 그물을 짜기에 바쁘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을 '공동의 적'으로 삼아 힘을 합치기 시작하면서 냉전이후 확고했던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의 균열과 지각 변동은 시간문제였던 셈이다.

푸틴 대통령이 서방과의 전면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우크라이나와의 전면전이란 도박에 나설 수 있었던 것도 이같은 '힘의 변화'에 대한 확신이 강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우크라이나 사태가 화두가 된 G7 정상회의와 나토 정상회의에 전쟁 당사국인 러시아 뿐만 아니라, 중국 견제가 함께 소환되고 있는 것은 자연스런 수순인 셈이다.

G7 정상들이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계획에 맞서는 6000억 달러 규모의 새 글로벌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유럽의 안보를 위해 창설됐던 나토가 중국을 신전략개념 문서에 포함시키려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결국 이번 G7과 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제 정치는 중국과 러시아의 노골적인 도전에, 미국과 서방이 강경하게 응전하며 대립하는 구도로 급속히 재편될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결국 세계 열강들이 맞붙는 대결의 서막이될 것이라는 불길한 우려가 더욱 짙어지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kckim100@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