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산업계, “전기요금 ‘5원’ 상승에 1조4000억대 더 부담”…원가 경쟁력 하락 우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력 소비 많은 업종일수록 생산원가 부담 커져"… 철강·자동차·화학·정유 등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금리·고유가·고환율 상황이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다음 달부터 전기요금도 오른다. 지난해 전력 사용량을 대입해 킬로와트시(kWh)당 전기요금을 5원 인상하면 기업들이 떠안을 추가 부담액은 연간 총 1조4567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기조 속에 '전기요금 상승'이라는 파고까지 마주하자 업종과 관계없이 원가 부담 상승에 따른 경쟁력 하락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냈다.

28일 산업계는 "전기요금 인상은 어느 정도 예상했지만 생산비용 증가는 걱정"이라는 입장이다. 이번 인상은 용도를 가리지 않고 시행돼 기업도 전기요금 인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지난 27일 한국전력은 "이번 연동제 제도개선 및 3분기 연료비조정단가 조정은 높은 물가상승 등으로 엄중한 상황임에도 국제연료가격 급등으로 큰 폭의 전기요금 인상요인이 발생했다"며 한전의 재무 여건 악화를 고려한 '불가피한 결정'이었음을 강조했다. 제품 생산 원가에서 전력 사용 비중이 큰 기업일수록 생산 원가 부담분도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산업 분야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자동차, 철강, 정유·화학, 전자 등을 취급하는 기업들은 이번 인상 계획에 더 깊은 한숨을 쉬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해 국내에서 전력 사용량이 가장 많았던 기업은 삼성전자로, 작년 한 해만 한국전력으로부터 18.41TWh(테와라트시, 10억kWh) 규모의 산업용 전력을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전기요금 인상을 단순 반영하면 삼성전자가 추가로 부담해야 할 전력 구매 비용은 약 921억 원가량 증가하는 셈이다.

전력다소비 업종으로 꼽히는 철강업계 관계자는 "전기요금이 과거에는 산업계의 경쟁력을 강화해주는 요인이었다면 이제는 경쟁력 약화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제품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어 철강 제품의 원가 경쟁력 하락과 이로 인한 국제 경쟁력 하락이 우려스럽다 "라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올려도 한전 적자 해소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기업과 국민을 위해서라도 강력한 자구책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인상분이 반영되면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전기료를 추가로 지불해야 할 것으로 전망되며, 실제로 철강업계는 전기요금 인상분을 제품가격에 반영해 비용 부담을 상쇄해 온 바 있다. 연간 1조원 이상을 전기요금으로 쓰는 현대제철의 경우는 지난 4월 새로운 철근 가격 체계를 도입해 철스크랩(고철) 가격 2만2000원과 전기요금 인상분(kWh당 6.9원) 4000원 등을 고려해 제품 가격을 톤(t)당 2만6000원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유·화학업계 역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과 영업이익이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업종이다. 화학업계 관계자는 "화학업계도 제품을 생산하는 원가에서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전기료 인상은 곧 생산원가 상승"이라며 "자체적으로 전력을 충당할 방법을 찾거나 수소와 같이 전력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가 있는지 알아보고 원가를 따져 봐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LG화학의 경우는 여수 및 대산 공장에 고효율 '가스터빈발전기(GTG)' 등을 설치해 사업장 내 필요한 전기·전력을 일부 충당하고 있다. 'GTG'란 납사크래킹센터(NCC)에서 납사를 분해하는 중에 발생하는 메탄 등 부생가스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신재생발전 장치다.

정유사는 정유 기능을 가진 모터를 가동하는 데 상당한 전력을 소비하는 곳이다. 정유사 관계자는 "전력 말고는 모터를 돌릴 수 있는 동력원이 딱히 없는 상태"라며 "전력 대체 대안을 찾아볼 수는 있겠지만 저전력 모터를 설치하는 비용이 더 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제품 가격에 늘어난 생산 비용이 전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예측되고 있다.

전기차 판매 증가에 대응하고 있는 자동차 업계에도 전기요금 인상은 악재다. 게다가 전기차 충전요금 할인 특례제도도 7월부터는 사라져 전기차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의 소비욕구 저하도 전망된다. 전기차 충전요금은 현재 ㎾h당 292원(50㎾급속)에서 300원대 중반까지 오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전기요금 상승의 여파는 중소기업들에도 크게 작용할 전망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논평을 통해 "전기요금 연료비 조정단가 인상 발표에 우려를 표한다"며 "한전의 누적 적자가 국민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에 공감하지만, '중소기업 전용요금제' 도입 등 합리적인 요금체계 개편과 고효율 기기 교체지원 확대 등의 조치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한전의 누적 적자가 국민 부담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에 공감하지만, 중소기업의 열악한 현실을 외면할 순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