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이투데이 말투데이] 집대성(集大成)/징고이즘 (6월27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성권 국민대 객원교수

☆ 가스통 바슐라르 명언

“실험은 논증으로 이어져야 하고 논증은 실험에 의존해야 한다.”

프랑스 과학철학자. 물리·화학 교사이던 그는 철학에 심취해 학위 취득 후 소르본대학에서 강의하며 미학(상상력)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그는 영미권 과학 인식론과는 다른 프랑스 과학 인식론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을 듣는다. 오늘은 그가 출생한 날. 1884~1962.

☆ 고사성어 / 집대성(集大成)

공자(孔子)가 세 성인(聖人)의 일을 모아서 일대성인(一大聖人)의 일을 이루었음은 음악에 비유하면 중음(衆音)의 소성(小成)을 모아 대성(大成)을 이룸과 같음을 뜻한다. “백이(伯夷)는 성인으로서 청렴결백한 사람, 이윤(伊尹)은 책임을 느끼는 사람, 유하혜(柳下惠)는 온화한 사람, 공자는 시기에 알맞게 하는 사람이다. 모든 것을 모아서 크게 이룬다는 것은 공자 같은 이를 일컫는 말이다. 모든 것을 모아서 크게 이룬다는 뜻은, 음악에 비유하면 금속 악기로 소리를 시작하고 옥으로 만든 악기로 소리를 끝내는 것과 같다[孔子之謂集大成 集大成也者 金聲而玉振之也].” 출전 맹자(孟子) 만장하편(萬章下篇).

☆ 시사상식 / 징고이즘(jingoism)

다른 사회집단에 대한 적대적·자기중심적 심리상태를 일컫는다. 1877년 러시아-투르크메니스탄 전쟁 때 마술사의 구호 ‘Hey Jingo!’에서 유래한 ‘by Jingo!(당치도 않다, 어림도 없다는 뜻의 강조 문구)’를 인용한 노래에서 비롯했다. 영국 수상 B.디즈레일리의 주전론자를 징고이스트(Jingoist)라 부르게 되며 징고이즘이 생겨났다. 프랑스어의 쇼비니즘(Chauvinism)과 같은 뜻.

☆ 우리말 유래 / 바보

멍청하고 어리석은 사람. ‘밥+보’에서 ‘ㅂ’이 탈락한 형태. ‘보’는 울보, 겁보, 느림보처럼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 원래는 밥만 먹고 하릴없이 노는 사람을 가리켰다.

☆ 유머 / 엄마의 착각

엄마가 아들을 태우고 국도를 신나게 달릴 때 옆 2차로 운전자가 V자를 만들어 보여주며 살짝 웃고 지나갔다.

흥분한 엄마가 “얘. 내가 아직 예쁘기는 예쁜가 봐. 저 아저씨도 엄마한테 V 자를 보이고 가잖니!”라고 말하자 아들의 대꾸.

“아유 엄마, 그거는 2차로로 가라는 신호여!”

채집/정리: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조성권 국민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멋있는 삶 연구소장 (opini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