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3 (토)

귀농·귀촌 가구 역대 최대…"코로나 장기화에 일자리·주거 확보 위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1년 귀농어·귀촌인통계…고령화 영향으로 평균 연령대 높아져

이투데이

2021년 기준 귀농어·귀총인 통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귀농·귀촌 가구 수가 1년 전보다 5.6% 증가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일자리와 주거 확보를 위해 귀농·귀촌 흐름이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은 23일 발표한 '2021년 귀농어·귀촌인통계'에서 지난해 귀농·귀촌가구는 총 37만7744가구로, 2020년(35만7694가구)보다 5.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대치다.

지난해 귀농 가구는 1만4347가구로 전년보다 14.9%(1858가구) 증가했고, 귀촌 가구도 1년 전보다 5.3%(1만8192가구) 늘어난 36만3397가구로 나타났다. 귀농과 귀촌 인구를 따로 봐도 역대 최대다.

귀농·귀촌 인구도 51만5434명으로 2020년(49만4569명) 대비 4.2% 늘어났다. 귀농·귀촌 인구는 2017년 51만6817명으로 증가한 이후, 2018년, 2019년에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이후 2020년에는 49만4569명으로 다시 늘어났고, 지난해에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인구 수로 보면 2017년에 이어 역대 두번째 규모다.

정부는 일자리와 주거 확보를 위한 귀농·귀촌 흐름이 지속된다고 분석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008년과 2009년 금융위기 당시 도시 지역의 불황에 따라 귀농·귀촌이 늘었지만 성공률이 높지 않았다"며 "다만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와 주택가격 상승 등 요인이 있었지만 금융위기 당시와 달리 경제 성장률이 높은 상황에서 농업을 유망 직종으로 생각하고 이주하는 경우도 많아졌고, 이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고령화의 영향으로 귀농·귀촌인의 평균 연령대는 높아졌다. 귀농인의 평균 연령은 55.8세로 전년보다 0.5세 높아졌고, 연령별 비중으로 보면 50대(33.0%)와 60대(36.0%)가 전체의 69.0%를 차지했다. 귀촌인의 평균 연령도 전년보다 0.6세 높아진 42.8세를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26.0%)가 가장 높았고, 30대가 20.8%로 뒤를 이었다.

정부는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보다 강화해 추진할 방침이다. 농촌생활을 사전에 경험할 수 있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과 농업 일자리를 체험할 수 있는 '농업 일자리 탐색형 교육' 등 사업 규모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청년 귀농인들의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영농정착지원금 지원규모도 지난해 1800명에서 올해 2000명 늘리고, 올해 하반기에는 '제1차 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귀농과 귀촌에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일괄로 지원하는 '귀농귀촌 통합 플랫폼도 구축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활용한다.

정현출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최근에 농업과 농촌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만큼 이들이 체계적으로 준비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투데이/세종=정대한 기자 (vishalist@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