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맞벌이·1인가구 취업자 증가 '역대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1년 하반기 고용조사


코로나19 이후 고용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지난해 하반기 취업한 맞벌이가구와 1인가구가 역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청년층 취업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1인가구 임금근로자 4명 중 1명은 아직 월 200만원을 벌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가구 및 1인가구 고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10월 기준) 맞벌이가구는 582만3000가구로 1년 전보다 23만가구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11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전체 배우자가 있는 가구(1258만7000가구)에서 맞벌이가구 비중도 46.3%로 0.9%p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46.3%)과 비슷한 수준이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지난해 3월부터 취업자 수가 플러스로 전환했고, 특히 여성 고용률이 회복세를 보였다"며 "이 영향으로 맞벌이가구가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맞벌이가구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8.5시간으로 전년 대비 1.3시간 줄었다. 성별로는 남자와 여자 각각 41.1시간, 36.0시간으로 1.4시간, 1.1시간 감소했다.

18세 미만 자녀를 둔 맞벌이가구는 229만9000가구로 1년 새 13만5000가구 증가했다. 전체 유배우 가구(430만9000가구)에서의 비중은 53.4%로 2.3%p 뛰었다. 연령별로 보면 맞벌이가구는 50~64세(252만4000가구), 40~49세(159만4000가구), 30~39세(92만3000가구) 순으로 많았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