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자료: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제계는 입장문에서 “우리 경제는 글로벌 공급망 위기, 원자재 가격상승 및 물류비 인상의 3중고로 복합위기에 빠져들고 있다”면서 “운송사업자 단체인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가 장기화되면서 시멘트, 석유화학, 철강은 물론 자동차 및 전자부품 수급도 차질을 빚고 있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제조업과 무역에 막대한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정부가 비상수송대책을 통한 물류대란 최소화, 대화를 통한 원만한 문제해결에 노력하고 있지만 계속되는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로 국가경제 피해와 함께 국민생활 불편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모든 경제주체들이 위기 극복에 힘을 모아야 할 때지 일방적인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대화를 거부하고 집단행동에 나설 때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경제계는 “정부가 대화를 통해 상생의 길을 찾겠다고 밝히고 있음에도 화물연대가 장기간 운송거부를 이어가는 것은 국가물류를 볼모로 하는 극단적 투쟁에 불과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화물연대는 우리 국민들의 위기 극복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지 않도록 집단운송거부를 즉각 중단하고 운송에 복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의 적극 대처도 요청했다. 경제계는 “정부는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막대한 파급효과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상황에 따라 업무개시명령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면서 “화물연대의 운송방해, 폭력 등 불법행위가 발생하면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처해 산업현장 법치주의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민주노총 화물연대가 지난 7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지난 11일 정부와 화물연대가 3차 교섭을 벌였지만 결렬되면서 파업 장기화가 우려된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일몰 폐지'와 '품목 확대'를 주장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11일 기준 화물연대 조합원의 약 30%인 6600명이 전국 14개 지역에서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전날과 비교하면 참여 인원은 1000여명 감소했다.
장치율(71.7%)은 평시(65.8%) 수준이지만 부산항, 울산항 등 일부 항만에서 국지적으로 운송방해행위가 있어 평시보다 반출입량은 줄었다. 긴급 물량은 경찰 보호를 통해 반출하고 있고 기업별 자체 운송인력 투입, 정부의 비상수송대책 등이 이뤄지고 있다.
기업 피해는 늘어나고 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화물연대 총파업 이후 철강 제품 4만5000톤 이상이 출하되지 못하고 있다. 울산 현대차도 부품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울산 석유화학단지에서는 화물연대 노조원이 주요 길목을 막아서면서 제품을 보내지 못하고 공장 앞에 쌓아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무역협회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11일까지 화주들로부터 총 155건의 애로사항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접수된 애로사항 155건 중 수입 관련이 53건(34.2%)으로 이 중 원자재 조달 차질이 24건(15.5%), 생산 중단이 14건(9.0%), 물류비 증가가 15건(9.7%)이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