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후 경기 안양시의 한 레미콘 공장에 레미콘 차량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2022.6.7/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총파업 사흘째인 9일 시멘트 출하 중단으로 레미콘 공장 가동이 중단되는 등 산업계 피해가 구체화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에 이어 반도체 원료 운송을 중단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며 파업이 길어질 경우 자동차와 반도체 등 한국의 양대 핵심 산업이 타격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레미콘 공장 가동 중단…조합원 36명 경찰 입건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파업에는 오후 5시 기준 전체 화물연대 조합원의 약 37%인 8100여 명이 참여했다. 전날(6500명)보다 24.6% 늘었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까지 전국에서 파업 관련 화물연대 조합원 36명을 업무방해, 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입건해 조사 중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대화해서 풀 수 있는 것은 풀겠다”면서도 “어떤 경우에도 법을 위반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법치국가에서 국민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이번 파업으로 시멘트 물류가 사실상 멈추며 레미콘업체인 삼표산업은 이날 전국 17개 공장이 모두 가동을 중단했다. 유진기업, 아주산업도 공장 상당수가 가동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10일 모든 공장이 멈춰설 것 같다”고 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화물연대 방해가 없어도 비조합원들이 부담을 느껴 대부분 차량 운행을 중단했다”고 전했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7~8일 매출 손실은 308억 원에 이른다.
파업으로 소주 출고가 지연되는 하이트진로의 경우 GS25와 CU 등 편의점들이 직접 본사 화물 차량을 청주와 이천 등 공장으로 보내 제품 조달에 나섰다.
●핵심산업 자동차와 반도체까지 ‘투쟁 대상’으로
9일 광주시 서구 기아차 광주공장 출고장에 수천대의 완성차가 출하가 가로막혀 세워져 있다. 광주=박영철 기자 skyblue@donga.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날 오후 반도체 원료업체인 LS니꼬동제련과 고려아연 등 울산지역 반도체 원료업체 정문 앞에서는 화물연대 조합원 30여 명이 20분가량 선전전을 펼치기도 했다. 반도체 세척에 반드시 필요한 고순도 황산(PVC)을 생산하는 업체들이다.
산업계는 화물연대가 이들 공장 원료 운송을 막을 경우 타격이 클 것으로 우려한다. 화물연대 내에서는 “정부가 지금처럼 계속 대처하면 원료 수송 집단 거부도 가능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은 이틀째 생산라인 가동과 중단을 반복했다. 화물연대 조합원 200여명이 이날 한때 울산공장 앞에서 조합원 차량을 돌려보내기도 했다. 자동차 부품생산업체로 이뤄진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호소문을 통해 “화물연대 단체행동은 생존권을 위협한다”며 “화물연대가 신차 인도를 지연시키며 고객 고통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했다.
●물류업계 “화물연대가 운임 추가 인상 요구”
피해가 확산되고 있지만 화물연대 측은 최근 물류협회와 화물차운송주선사업연합회 등 화주와 운수사업자에 실태운임을 16% 인상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운송사업자가 시멘트 화물차주(26t급)에게 지급하는 안전위탁운임은 올해 4월 왕복 200km 기준 25만1300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0% 가량 올랐다. 최근 유가 급등으로 운임이 추가로 오를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실태운임 인상을 추가 요구한 것이다. 다만 화물연대 측은 “총파업 이후 화주 측과 만난 적 없다”며 부인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화물연대와) 대화는 끊어진 적이 없다”며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대화를 통해 원만하게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총파업 후 국토부와 안전운임제 관련해서 어떤 대화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새샘 기자iamsam@donga.com
최동수 기자 firefly@donga.com
울산=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