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사이버보안 협력 강조한 한·미… 尹, 10만 인재 양성 약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조선DB



윤석열 대통령이 ‘10만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을 주요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지난 2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이후 공동성명에서도 양국의 사이버보안 협력 강화를 강조하면서, 사이버보안업계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최근 플랫폼·게임 등 주요 정보기술(IT) 기업 간 인건비 경쟁이 이어지면서 만성적인 인력난뿐 아니라 기존 인력 이탈 위기를 겪어온 사이버보안업체들엔 반가운 소식이다.

국내 사이버보안업계는 인력 수급 불균형이 수년간 이어지고 있다. 23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올해 필요한 신규 사이버보안 인력은 5953명이지만 실제 시장에 공급되는 신규 인원은 4229명으로 약 1724명의 격차가 있다. 이러한 현상이 유지된다면, 2025년 필요한 신규 인력은 6772명, 실제 신규 공급 인력은 4656명으로 격차가 2116명까지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KISA 측은 코로나19 이후 모바일 금융, 온라인 소비, 무인상점, 온라인 교육, 원격 근무 및 온라인 회의 등 생활 전반 비대면이 활성화되면서 보안 인력 수요가 증가했으며, 안전한 보안 환경 구축을 위해 인력 불균형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 주요 IT업체가 개발자 등 IT 인력의 연봉을 급격하게 높이며 인력 확보 경쟁을 펼치면서 사이버보안업체들은 신규 인력 확보는커녕 기존 인력도 다른 IT업계로 이탈하고 있는 상황이다. 카카오는 올해 1분기 인건비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한 4199억원을 썼다. 네이버는 올해 1분기 인건비·복리후생비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3812억원을 사용했다. 이는 전체 영업 비용 중 24%에 달한다. 반면 국내 사이버보안 기업은 자본금 50억원 미만의 중소기업이 전체 531개 기업 중 494개로 약 93%를 차지하고 있어, 연봉을 유인책으로 기존 인력을 잡아두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사이버보안업계 관계자는 “사이버보안업계는 중소기업이 대부분인데, 신규 채용도 어려운 상황에서 기존 숙련된 인력도 주요 IT기업과 대기업에서 계속 연봉 앞자리 수를 바꿔주면서 데려가니 연봉 등 복리후생을 유사하게 맞춰주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사이버보안업계 인력은 보안 핵심 기술만 전문적으로 다루는 인력만 있는 게 아니라 그 기술을 웹상에서 구현하게 하는 웹기술 개발자 등 다양한 직군이 있고, IT업계 전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술인 자바나 C언어를 잘 아는 기술자의 경우 핀테크, 전자상거래 등 사이버보안과 무관한 IT업계로 가서도 일을 무리 없이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노리고 데려가는 기업이 많다”라고 했다.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개발자뿐 아니라 사이버보안 컨설팅 담당자들을 영업 및 컨설팅 인력으로 외부에서 뺏어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조선비즈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1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강당에서 한미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이버보안 인재 육성 정책을 강조한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사이버보안업계에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윤 대통령은 앞서 대통령 후보였던 지난 1월 사이버보안 인재 양성을 강조하며 국가 차원의 일원화된 사이버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2026년까지 대학 특성화 교육을 확대하고 지역별 교육센터를 설치해 사이버보안 10만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공언했다. 국정과제에는 대통령 직속의 국가사이버안보위원회 설치뿐 아니라 민·관 합동 사이버협력체계 강화 등 내용도 포함됐다. 지난 21일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정상회담 이후 공동성명에서 사이버보안 협력 강화를 선언하면서 새 정부의 관련 산업 육성에 대한 의지 역시 다시금 강조되기도 했다.

임종인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석좌교수는 “사이버보안업계는 많은 전문지식을 요구해 진입장벽은 높지만, 대기업과 국가기관, 금융기관만 일부 제한적으로 인력을 뽑아왔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아 결국 훌륭한 인재가 보안이 아닌 다른 업계를 계속 택하는 것이 문제였다”라며 “이스라엘 정부가 사이버보안 인재를 자체적으로 육성하고 이들의 창업 및 미국 진출 등을 격려하듯이 우리 정부도 한정된 수요로 막혀있던 사이버보안 인재 분야를 혁신해야 한다”라고 했다.

이소연 기자(sosoy@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