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영국·독일·호주 등 쿠데타 미얀마와 속속 외교관계 '격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사→대리대사로 격 낮춰…'군정 인정 불가' 상징적 의미

"덴마크·이탈리아·이스라엘 동참 고려"…군정 "英대리대사 입국금지" 반발

연합뉴스

피트 보울스 주미얀마 영국 대리대사의SNS. 대사라는 표현 대신 주미얀마 영국 대사관의 공관장이라고만 표기하고 있다. [피트 보울스 SNS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쿠데타 15개월째를 넘어선 미얀마 군사정권에 대해 서방 국가들이 속속 외교 관계를 격하하고 있다.

미얀마 내 공관 활동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국제사회 인정을 바라는 군정의 의도에 응하지 않는다는 상징적 의미로 기존 대사를 대리대사로 '격하'시키는 조치가 잇따르고 있다.

최근 호주 공영 ABC방송은 외교통상부(DFAT) 고위 관리가 지난달 임기가 끝난 안드레아 포크너 주미얀마 대사 후임으로 발탁됐다고 보도했다.

이 고위 관리는 군사정권 수장에게 신임장을 제정하지 않을 것이며, 대리대사 직함을 가지고 공관장 임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방송은 전했다.

대리대사는 대사 부재 시 차석이 맡는 대사대리와 달리 사실상 대사에 준하는 권한을 갖는 직책이지만, 대사보다 격을 낮춤으로써 유혈 탄압을 자행하는 미얀마 군사정권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뜻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영국 정부도 기존 대사를 대리대사로 격을 낮췄다.

자유아시아방송은 쿠데타 7개월만인 지난해 8월 임명된 피트 보울스 주미얀마 영국 대사의 직책이 이후 대리대사로 바뀌었다고 보도했다.

피트 보울스 대리대사는 군정의 거듭된 요청에도 쿠데타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에 신임장을 제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얀마 군정은 이에 반발, 해외에 나갔다 귀국하려던 보울스 대리대사의 입국을 지난 2월부터 막고 있다고 방송은 전했다.

주미얀마 영국 대사관의 스티븐 스몰 대변인은 방송에 보낸 이메일 답변에서 "공관장 직책 변경은 신임장을 제정함으로써 군부를 인정하는 조처를 하지 않고서도 미얀마 국민을 지지하는 역할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주미얀마 독일 대사관 전경. 2022.2.1
[주미얀마 독일 대사관 페이스북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독일도 유사한 조처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미얀마 독일 대사관의 마르쿠스 루바빈스키 공보관은 방송에 보낸 이메일에서 "업무를 계속 중인 양곤의 독일 대사관을 대리대사가 이끌고 있음을 확인해줄 수 있다"고 밝혔다.

양곤의 외교 소식통은 방송에 덴마크, 이탈리아, 이스라엘도 영국·호주·독일처럼 미얀마 군정과의 외교 관계를 '격하'시키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방송은 전했다.

한국은 이미 지난해 강금구 대리대사를 임명했다.

당시 외교 소식통은 연합뉴스에 "대사를 보낼 수는 없지만, 한국과 미얀마 관계의 중요성을 고려해 대리대사를 보내게 됐다"고 설명했다.

미얀마가 회원국인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회원국 중에는 지난해 4월 자국 대사를 소환한 말레이시아를 비롯해 브루나이와 필리핀이 아직 주미얀마 대사를 임명하지 않았다고 방송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조 민 툰 군정 대변인은 "우리 내정에 간섭하려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그들에게 외교적 절차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방송은 전했다.

이와 관련, 군정은 최근 대리대사 임명 방침을 밝힌 호주 정부에 대해 같은 조처를 하겠다고 경고했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찬 아이 군정 외교차관은 지난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호주 정부가 대리대사 임명 방침을 군정에 알려왔다고 전하고 "이에 대응해 우리도 주호주 미얀마 대사관을 대리대사가 이끌게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발언이 현 대사를 소환하겠다는 것인지, 외교관계를 격하하겠다는 것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통신은 덧붙였다.

아이 차관은 또 영국 정부가 공관장 직책을 기존 대사에서 대리대사로 격하시킨 것에 대해서도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피트 보울스가 대리대사 신분으로는 미얀마 입국이 불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얀마 군부는 민주진영이 압승한 2020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고 주장하며 지난해 2월1일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잡았다.

이후 군부의 유혈 탄압 과정에서 현재까지 1천800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추산된다.

sout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