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이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불모지'인 호남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오늘(18일) 5·18 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을 맞아 당 소속 의원 사실상 전원이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광주로 내려가 기념식에 참석하고,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기로 하는 등 이전과 180도 달라진 '파격 행보'를 보였습니다.
야당 시절인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 때 시작된 '서진 정책'이 윤석열 정부의 '통합' 기조와 지방선거 국면과 맞물려 한층 더 탄력을 받는 모습입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광주, 전남, 전북 3곳 모두에 광역단체장 후보를 냈고 호남권의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에도 역대 가장 많은 후보를 낸 국민의힘은 '호남 민심 구애'를 통해 호남에서의 저변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이고, 수도권의 중도·부동층 표심까지 얻겠다는 전략입니다.
이준석 대표와 당 소속 의원 99명 등 100명은 오늘 오전 7시30분 서울역에서 출발한 '광주행 KTX 특별열차'를 타고 다 같이 5·18 광주민주화운동 42주년 기념식 참석을 위해 이동했습니다.
윤 대통령과 새 정부 장관들, 대통령실 참모진까지 당정 인사 100여 명이 함께한 '여권 총출동'이었습니다.
총 109명의 소속 의원 가운데 코로나19 등에 따른 병가나 지방선거 회의 참석 등 사정이 있는 사람을 제외하고 사실상 전원이 참석했습니다.
보수정당 정치인이 역대 가장 많이 참석한 것으로, 그간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슈에 거리를 뒀던 보수정당으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행보라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의원들은 기념식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습니다.
그간 보수 정부에서 합창과 제창 형식을 놓고 논란을 빚어왔던 것에 비춰볼 때 국민의힘이 과거 선례와 통념을 깨고 호남 민심에 적극적으로 다가가려는 움직임을 보인 상징적 장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대표와 공동선대위원장인 권성동 원내대표, 김기현 의원 등 당 지도부는 오늘 5·18 기념식이 끝난 뒤 오후까지 광주 선거대책위원회 회의, 전남 선거대책위원회 회의, 전북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 잇따라 참석합니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의 검찰 재직 시절 인연이 깊은 대검 수사관 출신의 주기환 광주시장 후보, 2016년 총선에서 보수정당 후보로는 사상 처음 '호남 재선'에 성공해 파란을 일으켰던 이정현 전남지사 후보, 민주당 출신으로 전북 익산에서 4선을 지낸 조배숙 전북지사 후보에 대해 지지를 호소하고, 지역 맞춤형 공약 이행 의지를 강조할 예정이빈다.
이 대표는 이후 전북 전주에서 시민 인사 일정도 소화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민의힘이 호남에 대해 달라진 태도를 보이기 시작한 것은 대선 국면으로 접어들기 전 야당 시절부터입니다.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이 보수정당 대표로서 처음 광주 5·18 묘역에서 무릎을 꿇고 사과했고, 이어 이준석 대표가 지난 대선 기간 광주를 포함한 호남 지역을 꾸준히 찾으며 호남 민심 구애에 나섰습니다.
이 대표는 임인년 새해 첫날 광주 무등산에 오르고, 전남 신안군 흑산도를 찾아 '흑산공항 사업' 완수를 약속하며 민주당과 호남에서의 정책 대결을 선언했습니다.
대선 직후에는 1박 2일로 광주를 찾아 호남에서 역대 최고 지지율을 기록한 데 대해 감사 인사를 했습니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번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예년보다 후보를 많이 냈다. 대표적 호남주자인 이정현 전남지사 후보는 당선을 목표로 출마했고 광주시장, 전북지사 후보도 굉장히 확장력을 가진 분들"이라며 "표의 확장력을 키우고 당의 저변을 넓혀서 그간 선출직이 '0명'이었던 호남에서 기초의원 정도는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호남에서 지지율이 1% 올라가면 출향 호남인이 많은 수도권 지지율이 10%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며 "호남에 대한 진정성 있는 노력이 본진에서의 지지율 상승과 함께 수도권의 중도 민심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