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방송통신위원회가 한국수어방송 의무편성비율을 7%로 상향하고 화면해설방송 재방송 편성비율을 25%로 축소하는 등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정책을 지속 추진한다.
방통위는 지난해 미디어 격차 없는 행복한 포용국가 실현을 위해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올해 지난해보다 27.5% 증액된 예산을 고려, 이 같은 세부 추진 계획을 마련하고 확대 시행한다.
장애인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주문형비디오(VOD)도 자막방송·화면해설방송 등을 이용하도록 지상파 방송사에 이어 종합편성채널로 제작 지원을 확대한다.
올해부터는 전체 시·청각장애인 대상 맞춤형 TV를 확대 보급, 누적보급률 35% 달성을 목표로 한다. 기존에는 지원 TV를 일괄적으로 보급했으나 이용권 제공 등 개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방식도 개선한다.
IPTV 소외계층 시청 편의를 위해 2020년 KT, 2021년 SK브로드밴드가 셋톱박스 장애인 특화기능 개발을 완료한 데 이어 올해는 LG유플러스가 기능 개발에 참여한다.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신기술에 대한 장애인 접근성을 제고, 미디어 복지를 향유하도록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2024년까지 재난재해 시 장애 유형에 따라 정보를 손쉽게 제공 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재난정보전달서비스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고 '이용자참여검증단(리빙랩)'을 구성·운영한다.
청각장애인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아바타 수어 생성시스템을 개발하고 2019년부터 추진해 온 음성·자막 변환시스템을 지속 고도화하기 위해 시범서비스를 실시한다. 장애인방송 질적 향상을 위한 품질병가, 영상 공모전, 콘퍼런스 등도 추진한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 장애인 등 소외계층 미디어 접근권을 보장하는 것은 포용적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중요한 정책 과제”라며 “앞으로 장애인방송 제작지원 매체를 확대하고 새로운 디지털 기술 이용과 미디어 활용도를 제고, 소외계층 디지털격차를 해소하고 국민과 동행하는 디지털 미디어 복지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