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오미크론 감염 소아 늘자 '급성 폐쇄성 후두염'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소아 코로나19 환자의 '급성 폐쇄성 후두염'(Croup) 발병이 급증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소아청소년과 한미선 교수 연구팀은 2021년 3월 1일부터 2022년 2월 25일까지 보라매병원과 국립중앙의료원에 코로나19로 입원한 5세 미만의 영유아 569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오늘(2일) 밝혔습니다.

급성 폐쇄성 후두염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후두 점막에 침투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1∼3세 유아에서 흔합니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발열과 함께 숨을 들이마실 때 짖는 듯한 거친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고, 심해지면 호흡 곤란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 코로나19 확진 영유아 569명 중 3.7%인 21명이 급성 폐쇄성 후두염을 앓았고, 이들 중 81%인 17명은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했던 2022년 1월과 2월에 발생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했던 이 시기에는 급성 폐쇄성 후두염의 주요 발병 원인인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소아 코로나19 환자의 급성 폐쇄성 후두염 발병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대목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폐 등 하기도가 아닌 코나 목 등 상기도에서 더욱 쉽게 복제되는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이 소아의 급성 폐쇄성 후두염 발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결론내렸습니다.

한 교수는 "오미크론에 감염된 소아 환자에서 후속적으로 급성 폐쇄성 후두염이 발병할 위험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성인과 비교해 기도가 상대적으로 좁은 소아에게서 상기도 감염으로 인한 급성 폐쇄성 후두염의 유병률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근호에 게재됐습니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