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IMF,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3%→2.5%로 하향…"물가 4% 뛸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경제 성장률 4.4%→3.6%로 낮춰…"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훼손·물가 상승 영향 반영"

[아시아경제 워싱턴(미국)=권해영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5%포인트 내려잡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생한 지난 2월 이후 내놓은 첫 전망치로,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훼손 및 물가 상승 여파로 한국을 포함한 세계경제 성장률이 대폭 둔화될 것으로 봤다. 지난달 10년만에 4%대를 돌파한 우리나라의 물가 상승률은 연간 4.0%로 종전 대비 0.9%포인트 상향, 인플레이션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IMF, 올 한국 성장률 0.5%포인트 하향…물가 상승률은 4% 예상=IMF는 19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의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전체 회원국 전망을 내놓고, 1월과 7월에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수정 전망을 공개한다.

IMF는 이번 전망에서 우리나라 성장률을 지난 1월 전망치(3.0%)보다 0.5%포인트 낮은 2.5%로 제시했다. 지난해 10월 전망치(3.3%)를 1월 수정한 지 석 달 만에 또 다시 성장률을 낮춰 잡은 것이다. 직전 전망 때와는 달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전쟁 영향이 본격 반영된 탓이다. 우리 정부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해 말 성장률을 각각 3.1%, 3.0%로 제시했는데 향후 수정 전망을 통한 하향조정이 불가피하다.

올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전망치(3.1%) 보다 0.9%포인트나 오른 4.0%로 제시했다. 미국(7.7%), 영국(7.4%), 캐나다(5.6%), 독일(5.5%), 프랑스(4.1%) 등 주요국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전쟁으로 인한 유가 상승 등의 영향이 정부의 유류세 인하 노력 등으로 일부 상쇄됐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IMF가 우리 경제 전망을 하향조정했지만 세계 및 주요 선진국 대비 상대적으로 소폭의 조정"이라며 "전쟁 이후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대되는 와중에도 한국은 상대적으로 회복력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독일(-1.7%포인트), 영국(-1.0%포인트), 일본(-0.9%포인트), 인도(-0.8%포인트) 등과 비교하면 하향폭이 적다는 설명이다.

IMF에 따르면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를 제거한 2020~2022년 평균 성장률은 1.85%로 주요 7개국(G7)과 비교시 미국(1.92%) 다음으로 높았다. 2020~2023년 평균성장률은 2.11%로 G7 국가를 모두 상회했다.

◆전쟁으로 공급망 훼손·물가 상승…"세계경제 대폭 둔화"=이번 전망에서 IMF는 세계경제 성장률이 대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세계 경제는 3.6% 성장해 지난해 1월 전망치(4.4%) 대비 0.8%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봤다.

주요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1월 4.0%에서 이번에 3.7%로 떨어졌다. 독일(3.8%→2.1%), 영국(4.7%→3.7%), 일본(3.3%→2.4%), 인도(9.0%→8.2%), 중국(4.8%→4.4%)도 성장률이 하향조정됐다. 전쟁 중인 러시아는 -8.5%, 우크라이나는 -35.0%의 성장률을 기록해 종전 전망치 대비 각각 11.3%포인트, 38.6%포인트 추락할 것으로 봤다.

IMF는 올해 세계경제 위험 요인으로 ▲전쟁 악화로 인한 공급망 훼손 ▲물가 상승 ▲러시아 채무 불이행에 따른 보호주의 및 기술교류 제한 가능성을 꼽았다. ▲유가·식품가 폭등 및 난민에 따른 사회적 불안 ▲코로나19 재확산 ▲중국 성장둔화 장기화 ▲금리인상 및 부채 부담 증가도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제시했다.

2023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직전 전망치(3.8%)보다 0.2%포인트 낮은 3.6%로 제시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훼손,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긴축적 통화정책 탓에 내년 성장률이 2021년(6.1%) 보다 2.5%포인트나 떨어질 수 있다고 봤다.

경제정책 측면에서는 국가별 상황에 맞는 유연한 재정·통화정책 추진을 권고했다.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긴축 통화정책이 필요하지만, 재정 측면에서 코로나·전쟁 취약계층에 대한 선별적 지원 축소는 신중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워싱턴(미국)=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