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9 (수)

이슈 쌍용차 인수전

쌍용차 인수 테마주 과열…팔 걷어붙인 금감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쌍방울그룹주, 계열사 주식 매각에 급락
광림·미래산업측 "시세차익 아냐" 해명
KG그룹, 인수의향 밝힌 뒤 주가 강세
금감원장 "테마주 신속대응, 위법 엄중조치"
뉴시스

[평택=뉴시스] 김종택기자 = 에디슨모터스컨소시엄의 쌍용자동차 인수가 무산됐다. 쌍용차는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과 체결한 인수합병(M&A) 투자계약이 자동해제됐다'고 28일 공시했다. 사진은 이날 경기도 평택시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정문 모습. 2022.03.28. jtk@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승주 기자 = 쌍용차 인수가 한 차례 불발된 뒤 2차전에 돌입하면서 작은 이슈에도 주가가 민감하게 급등락하는 테마주 양상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사측은 이에 해명하고 투자자들은 의심하는 패턴이 반복되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장이 "위법행위가 발견되면 엄중조치하겠다"고 경고했다.

7일 자동차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금까지 쌍용차 인수 2파전에 의향을 밝힌 곳은 3곳이다. 쌍방울그룹과 KG그룹이 인수의향을 밝혔고 앞서 인수에 실패했던 에디슨모터스가 재의사를 타진했다.

가장 크게 주가가 급등락하는 곳은 쌍방울이다. 쌍방울은 이날 오전 10시10분께 13.06% 하락세다. 인수 의향을 밝힌 뒤 2연상(2거래일 연속 상한가)을 달리던 쌍방울 그룹은 주요 계열사 미래산업이 또다른 계열사 아이오케이 주식을 팔았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부터 동반 급락세다.

뉴시스

[서울=뉴시스] 백동현 기자 = 에디슨모터스의 쌍용차 인수계약이 무산될 위기에 놓인 27일 오전 서울 시내버스에 에디슨모터스 로고가 붙어 있다. 이날 법조계에 따르면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은 인수대금 잔금 납입 기한인 지난 25일까지 잔금을 지급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사진=다중노출촬영) 2022.03.27. livertrent@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쌍용차가 인수의향에 주가가 급등하자 주식을 팔아챙긴 소위 '먹튀'를 했다고 의심한 것이다. 실제로 같은 시각 지난 1,4일 상한가를 기록했던 계열사 광림(-12.35%), 아이오케이(-7.78%), 미래산업(-12.69%) 등 하락세다.

그러자 사측은 적극 해명에 나섰다. 특장차 계열사 광림 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쌍용차 인수를 위한 안정적인 자금 조달 창구를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적극적인 인수 행보를 보일 것"이라며 "아이오케이 주식 매도는 차익실현이 아닌 손실을 감수한 매도다. 인수를 앞두고 예민한 상황인 만큼 투자자 피해가 없도록 추측성 보도를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미래산업도 "이번 주식 매도로 확보한 124억원은 회사 운영자금을 위한 것일 뿐 부도덕한 행위는 없었다"며 "지난해 11월 주당 1720원에 매수해 이번에 1978원에 매도했으니 차익실현은 없다. 가짜뉴스다"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KG그룹도 전일 쌍용차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KG케미칼은 이날 오전 11시25분께 18.39% 오름세다. KG동부제철(27.38%), KG모빌리언스(11.62%) 등 강세다. KG동부제철우는 상장주식수 부족에 29.71% 상한가다.

KG동부제철의 최대주주인 KG스틸이 캑터스프라이빗에쿼티(PE) 등과 컨소시엄을 꾸려 인수주체가 될 전망이다. 지난 2019년 KG그룹은 캑터스PE와 동부제철(현 KG스틸)을 인수한 바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쌍용차 인수를 추진하던 에디슨모터스에 힘입어 에디슨EV 주가는 지난해에만 기대감이 더해지며 약 1200% 상승했다. 인수전에 참여했던 유앤아이 역시 주가가 급등했지만, 인수가 불발되면서 주가는 급락했다. 유앤아이는 현재 7.06% 하락세다.

이처럼 인수 관련 이슈에 주가가 크게 급등락하며 투자자 피해 우려가 제기되자 금융당국이 엄중조치를 당부했다.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오전 개최된 임원회의에서 "최근 상장기업을 인수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하는 과정에서 자본시장을 악용해 시장 신뢰성이 저하되고 투자자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실기업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특정테마주에 신속히 대응하고 불공정거래 혐의나 위법행위가 발견되면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과 협의해 철저히 조사하고 위법행위는 엄중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oo47@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