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경남 고성 운흥사 대형불화서 고대 인도문자 150개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인 경남 고성의 대형불화 '운흥사 괘불탱'에 고대 인도문자인 '범자'(梵字) 150여 개가 그려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괘불은 영산재나 수륙재 같은 대규모 야외 불교 의식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불화입니다.

길이가 10m 안팎에 이르는 커다란 삼베나 비단에 부처를 그렸으며,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불교 문화재로 꼽힙니다.

문화재청은 오늘(4일) 발간 사실을 알린 '운흥사 괘불탱 및 궤' 조사 보고서에서 "일부 탈락하거나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글자를 포함해 범자 150자 이상이 불화 화면에 적혔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범자는 불화 앞쪽 인물의 머리, 미간, 눈 위, 눈동자, 눈 아래, 입술, 가슴, 배, 다리 등 곳곳에 기록됐습니다.

뒤쪽에서도 범자가 확인됐습니다.

보고서는 "존상(尊像·지위가 높고 귀한 형상) 신체에 범자를 적는 것은 점필(點筆)과 관련이 있다"며 "점필은 새롭게 조성된 불보살을 예배의 대상으로 높이고, 불보(佛寶)로 거듭나게 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화면 곳곳에 범자를 그린 또 다른 사례로는 전북 부안 '개암사 괘불탱'이 있습니다.

이 불화에서도 미간, 눈동자, 목, 가슴, 어깨, 무릎, 발 등에서 범자 118개가 발견됐습니다.

조사단은 운흥사 괘불탱을 감싼 가로 8.7m, 세로 1.7m인 직물이 탁의(卓衣)라는 사실도 찾아냈습니다.

탁의는 사찰에서 대형 행사 때 불단이나 탁자를 덮는 물품입니다.

운흥사 탁의는 본래 야외 의식에 쓰였던 것으로 짐작됩니다.

운흥사 괘불탱은 조선 영조 6년인 1730년 승려화가 의겸 등이 그렸습니다.

신체 비례가 적당한 인물 형태, 조화롭고 밝은 색채, 화려하고 다양한 문양, 중심인물을 돋보이게 한 배치 등이 특징으로 평가됩니다.

문화재청은 성보문화재연구원, 국립문화재연구원, 대한불교조계종과 함께 2015년부터 '대형불화 정밀조사' 사업을 진행해 바탕 직물, 안료 정보와 실측 결과 등을 정리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운흥사 괘불탱 외에 '갑사 삼신불 괘불탱', '율곡사 괘불탱', '금당사 괘불탱',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의 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펴냈습니다.

갑사 삼신불 괘불탱은 국보이고, 나머지 유물은 모두 보물입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매년 대형불화 6건을 조사해 2030년까지 전국 대형불화 정보를 집대성할 계획"이라며 "발간 보고서는 문화재청 누리집에서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