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구성을 마무리하고 내일(18일) 현판식을 갖습니다. 인수위원회는 먼저 대통령 새 집무실을 정하기 위해 내일 후보로 거론된 장소들을 현장 답사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국방부 청사는 서울 용산 미군 주둔지 한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주변에 높은 건물들도 많지 않고 시민 왕래도 적어 광화문보다는 경호에 유리한 점도 있습니다.
군사 전문가들은 군사 대비 태세 공백을 우려합니다.
당장 다음 달 북한의 ICBM 추가 발사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국방부 이전에 나서면 적시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또 용산에 있는 합동참모본부 지하벙커는 군사 정보가 집결되는 곳이고, 청와대 지하벙커는 군사뿐 아니라 경제와 사회 분야까지 전국 모든 정보가 모이는 곳인데, 둘은 서로 호환되지 않는 데다 한쪽을 이전하려고 해도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든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시민 불편도 만만찮은 과제입니다.
대통령 출퇴근 시 교통 통제를 실시해야 하는데 국방부 청사 주변은 상습 정체 지역입니다.
아울러 경호를 위한 전파 방해가 주변 지역 통신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국방부 청사를 재배치하려면 절차상 국방부 재정관리단에 공사를 의뢰해야 하는데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인수위는 공사를 의뢰할 법적 자격이 없다"고 해석했습니다.
결국 안보와 교통 같은 문제가 모두 해결돼 국방부 청사로 이전을 결정하더라도, 새 정부가 출범한 5월 이후에야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사가 시작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엄민재 기자(happym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구성을 마무리하고 내일(18일) 현판식을 갖습니다. 인수위원회는 먼저 대통령 새 집무실을 정하기 위해 내일 후보로 거론된 장소들을 현장 답사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국방부 청사는 서울 용산 미군 주둔지 한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주변에 높은 건물들도 많지 않고 시민 왕래도 적어 광화문보다는 경호에 유리한 점도 있습니다.
인수위는 반환되는 미군 부지를 활용해 일종의 '대통령 공원'을 만들어 시민과 소통하겠다는 구상이지만 그런 만큼 '국민 속으로' 가겠다는 윤 당선인 취지와 달리 '군인 속으로'가 될 우려가 있습니다.
군사 전문가들은 군사 대비 태세 공백을 우려합니다.
당장 다음 달 북한의 ICBM 추가 발사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국방부 이전에 나서면 적시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또 용산에 있는 합동참모본부 지하벙커는 군사 정보가 집결되는 곳이고, 청와대 지하벙커는 군사뿐 아니라 경제와 사회 분야까지 전국 모든 정보가 모이는 곳인데, 둘은 서로 호환되지 않는 데다 한쪽을 이전하려고 해도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든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김종대/정의당 전 의원 (군사전문가) :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만든 군의 각종 지휘통제 시스템 이런 부분에 있어서 일단 단기적으로 문제가 될 수가 있고요. 다른 건물을 구해서 이걸 만들려면 또 수천억 원의 돈을 써야 된다는 말이에요.]
시민 불편도 만만찮은 과제입니다.
대통령 출퇴근 시 교통 통제를 실시해야 하는데 국방부 청사 주변은 상습 정체 지역입니다.
아울러 경호를 위한 전파 방해가 주변 지역 통신 장애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새 청사에서 업무를 시작하겠다는 구상 역시 물음표가 붙습니다.
국방부 청사를 재배치하려면 절차상 국방부 재정관리단에 공사를 의뢰해야 하는데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인수위는 공사를 의뢰할 법적 자격이 없다"고 해석했습니다.
결국 안보와 교통 같은 문제가 모두 해결돼 국방부 청사로 이전을 결정하더라도, 새 정부가 출범한 5월 이후에야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사가 시작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엄민재 기자(happym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