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 및 부위원장 인선 결과를 발표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핵심 공약인 여성가족부 폐지가 새 정부 정부조직 개편의 최대 뇌관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이 13일 재차 폐지 의지를 밝혔지만 국회에서 정부조직법을 개정해야 해 난항이 예상된다.
여가부 폐지 등 정부 조직을 손질하려면 국가행정기관의 설치·조직과 직무범위의 규정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이 필수다. 구체적으로는 ‘대통령 통할 하에 다음의 행정각부를 둔다’고 정부 부처를 정한 해당 법 26조 등을 손봐야 한다.
문제는 국회 의석 상황이다. 현재 국회 의석은 더불어민주당이 172석, 국민의힘이 110석을 차지해 국민의힘이 단독으로 법안을 처리할 수 없는 구조다. 여가부 폐지를 반대하는 정의당은 6석, 국민의힘과 합당 예정인 국민의당은 3석이다.
앞선 정부들도 몇몇 부처 개편이 논란이 되면서 정부조직법 개정에 난항을 겪었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 당시 정부조직법은 미래창조과학부 신설을 두고 여야가 맞선 끝에 법안이 제출된 지 52일만에 국회 문턱을 넘었다. 2017년 문재인 정부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법안 제출 41일만에 통과됐다. 핵심 쟁점이었던 물관리 업무 일원화 문제는 야당의 반대로 제외됐다.
유정인 기자 jeongin@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