밝은 미소 짓는 윤석열 당선인 |
(서울=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제20대 대통령에 선출됐다. 득표율 48.56%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47.83%)를 0.73% 포인트 차이로 눌렀다. 표 차는 24만7천여 표에 그쳤다. 무효표 30만7천여 표보다도 적은 표 차이다. 1987년 대통령 직선제 이후 가장 적은 표 차로 당락이 갈렸다. 양당의 치열한 네거티브 공방 끝에 막판에 지지층이 총결집한 결과다. 개표 초반에는 이 후보가 우세를 보이다가 개표율이 50%를 넘어서면서 윤 후보 우세로 돌아섰다.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초박빙' 접전이 밤새도록 이어져 잠을 설치게 했다. 윤 당선인은 10일 당선인 신분으로서 첫발을 내디뎠다. 서울 서초동 자택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축하 전화를 받은 뒤 곧바로 국립현충원으로 향했다. 방명록에 '위대한 국민과 함께 통합과 번영의 나라를 만들겠다'고 썼다.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한 당선 인사에서는 "정치를 시작한 후 여러 어려움이 있었을 때마다 왜 국민이 저를 불러내었는지, 무엇이 국민을 위한 것인지를 생각했다"면서 "오직 국민만 믿고 오직 국민의 뜻을 따르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대선은 초박빙이지만 민심을 엿볼 수 있는 선거였다. 문재인 정부 5년이 낳은 부동산값 폭등, 양극화 심화, 청년 실업 등에 대한 국민의 꾸짖음은 준엄했다. 유권자는 김대중-노무현, 이명박-박근혜 정부로 이어져 온 10년의 진보-보수 권력 주기를 5년으로 단축했다. '촛불 민심'을 업고 출범한 진보 정권을 5년 만에 끌어내렸다. 선거 과정에서 윤 당선인의 부인이나 장모의 주가조작 의혹 등 수많은 문제가 불거졌지만, 유권자에게는 현 정부 5년의 실정이 더 크게 다가왔다. 곧 여당이 될 국민의힘은 정권교체에 성공했다는 자만에 빠져서는 곤란하다. 국민은 제1야당이 잘해서 표를 주었다기보다는 정권교체를 선택했고, 오랜 양당 정치의 폐해에서 그나마 자유로워 보이는 정치 신인을 간판으로 선택한 것이다. 윤 당선인의 선거 슬로건대로 국민이 윤석열을 불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적대적 진영 정치에만 골몰하는 기성 정치인에게 신물이 난 표심이 그나마 낡은 정치를 혁파할 것이라는 기대로 정치 경험은 전무하고 말도 투박해 보이는 윤 당선인에게 향한 셈이다. 그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경기도, 인천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광주시, 세종시, 제주도를 제외한 10곳에서 승리했다. 서울에서 5% 포인트 가까운 표 차로 이겼고, 호남에서는 기대에는 못 미치지만 역대 보수정당 지지율 가운데 최고인 11.4∼14.4%를 득표했다.
유권자는 그러나 대통령 당선인 앞에 꽃길을 깔아주지는 않았다. 공정과 상식을 강조하는 윤 당선인에게 '한번 해보라'는 기회를 주면서도 힘을 싣는 데에는 인색했다. 충분한 지지율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국정운영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 있는 대목이다. 더구나 압도적인 여소야대 국회 구도 속에서 총리 인준과 내각 구성 등 만만치 않은 장애물이 놓여있다. 국민통합과 협치, 정치개혁 등 힘겨운 과제를 풀어나가야 한다. 선거 과정에서 드러난 세대별, 성별 갈라치기를 방치하면 국가의 미래가 없다. 윤 당선인은 60대 이상에서는 크게 앞섰지만 40∼50대에서는 크게 뒤졌다. 20∼30대의 경우 남성의 표는 얻었지만 상대적으로 여성의 마음을 사지는 못했다. 현 정부의 대표적인 실정으로 꼽히는 부동산 문제, 양극화, 청년 실업 등은 고스란히 새로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의 과제다. 넘겨받은 현안이라도 새로운 정부가 풀어내지 못하면 민심은 차갑게 돌아서게 마련이다. 자고 일어나면 천정부지로 값이 치솟는 아파트를 올려다보며 극심한 좌절에 빠진 청년 세대들을 끌어안는 대책도 시급하다. 서둘러 인수위를 구성해 현 정부와 코로나19 방역을 조율하고 힘을 모아야 한다. 현안이 쌓여있어 당선의 기쁨에 취할 여유조차 누릴 수 없는 시국이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