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시장에 쏟아지는 QR인증용 태블릿·휴대폰…평소 대비 20~30% 거래글 급증
방역패스 시행이 중단된 1일 점심시간 종로구의 한 식당에 백신접종 QR코드 인증을 위해 마련된 휴대기기가 꺼진 채 놓여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 강서구에서 스터디카페를 운영하는 김 모(52) 사장은 작년 12월 약 40만 원짜리 태블릿 PC를 구매했다. 정부가 특별방역대책 일환으로 방역패스를 학원·PC방·스터디카페 등 실내 다중이용시설에 확대 적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3개월 만에 김 사장은 중고시장에 태블릿 PC를 10만 원에 처분했다. 지난 1일부터 전국에서 방역패스 시행이 중단되자 방역물품이었던 단말기가 짐으로 전락해서다. 김 사장은 “현재 저 같은 사장들이 많아 중고시장에 단말기 값이 싸게 매겨지다보니 30만 원이나 손해를 보고 팔게 됐다”고 한숨을 쉬었다.
정부가 1일부터 전국에서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시행을 중단하면서 소상공인·자영업자들 매장에서 사용하던 QR코드 인증 단말기들이 중고시장에 쏟아지고 있다. 큰 돈을 들여 태블릿 PC와 중고 스마트폰을 구매했던 자영업자들은 정부의 오락가락 방역 지침으로 4개월 만에 이를 다시 헐값에 처분하는 상황에 놓였다.
2일 중고거래 플랫폼 업계에 따르면 방역패스 시행이 중단된 지난 1일 태블릿 및 중고 스마트폰 판매 게시글은 하루 평균 대비 약 20~30% 증가했다. 중고나라·번개장터의 단말기 중고 판매글 대다수가 판매가 대비 저렴한 가격에 팔려나갔다.
태블릿을 전문적으로 매입하는 한 중고업체에선 전날 단말기를 팔겠다는 문의가 2배 가량 늘었다. 중고매입업체 관계자는 “단말기를 팔겠다는 자영업자들의 문의가 많다”고 말했다. 이는 정부가 지난 1월 독서실·스터디카페·대형마트 등 위험도가 낮은 6종 시설의 방역패스를 해제했을 때와 비슷한 양상이다. 번개장터에 따르면 지난 1월 18일 기준 한 달 전후 대비 중고 태블릿 판매상품 등록 비율은 약 20.5% 상승했다.
방역패스 해제 전날인 2월 28일에 번개장터에 올라온 QR코드 인증용 태블릿 PC 판매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방역패스가 전국적으로 의무화 된 건 작년 12월 6일이다. 수기로 출입명부를 작성하거나 안심콜로 방역을 지킨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은 방역패스를 위해 태블릿 및 중고 스마트폰을 사야 했다. 이에 국내 태블릿PC 판매량은 급증했다. 전자랜드에 따르면 지난해 태블릿PC 판매량은 전년 대비 21%가량 늘었다. 지난해 전체 판매량은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판매 수치는 이후에도 더 늘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지원금을 받고 QR인증 단말기까지 구매했지만,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은 4개월도 사용하지 못하고 이를 처분하게 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일 0시부터 식당·카페 등 11종의 시설, 감염취약시설, 50인 이상의 모임·집회·행사 등에 대한 방역패스 적용을 전면적으로 중단했다. 이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이나 행사 입장 시에 QR코드를 인증하거나 음성확인서를 제시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투데이/심민규 기자 (wildboar@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